대형병원 의료진의 결핵 감염이 잇따르고 있어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이화여대 목동병원에 이어 3일 삼성서울병원 간호사가 결핵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삼성서울병원 소아혈액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A씨(27·여)가 정기 건강검진에서 전염성 결핵으로 지난 1일 확진돼 역학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질본은 병원 내에 ‘결핵역학조사반’을 설치하고 근무기간(7월 1∼28일) 병동을 이용했던 환자 86명과 같이 근무한 직원 43명을 대상으로 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보건 당국은 이날부터 대상자들에게 개별 연락해 결핵 검사(흉부X선) 및 잠복결핵 검사(피부 반응 및 혈액)를 벌이고 있다.
1차로 조사가 완료된 직원 37명 중에서 새로 결핵 환자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환자들의 경우 대부분 면역력이 떨어진 암 환자들이어서 추가 결핵 환자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이대 목동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했던 간호사(32·여)가 지난달 15일 건강검진에서 결핵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 3월에는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가 결핵에 감염됐고 29명에게서 잠복 결핵균이 발견됐다.
질본이 지난해 신규 결핵 환자 3만2181명을 업종별로 분석한 결과 보건의료인은 367명으로 학생(1490명) 다음으로 많았다. 이어 군인(234명) 교직원(165명) 식품접객원(162명) 등이었다. 보건의료인 결핵 환자는 2012년 117명, 2013년 214명, 2014년 294명, 2015년 367명으로 매년 느는 추세다.
현재 의료인은 건강보험법에 따라 1년에 한 번 하는 정기 건강검진에서 결핵 검사를 받고 있다. 문제는 잠복 결핵이다. 잠복결핵은 전염성이 없지만 10% 정도는 결핵이 발병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호흡기내과·응급실·암병동·중환자실·신생아실 등 고위험 부서에 근무하는 의료진에 한해 의료기관이 자체 비용을 들여 자율적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4일부터는 의료기관을 포함해 산후조리원,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등 종사자에 대한 결핵과 잠복결핵 검진이 의무화된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경우 비용 부담 때문에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는 “잠복결핵 검사를 하면 의료진 결핵 감염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겠지만 비용이 만만찮아 의료기관이 부담하기 꺼린다”고 지적했다. 잠복결핵 검사 비용은 한 명당 8만∼10만원 수준이다.
보건 당국은 내년부터 의료진에 대한 검사비 지원을 위해 재정 당국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지만 실제 예산이 확보될 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최소한 중환자실이나 신생아실, 응급실 등 고위험 부서 의료진만이라도 검사 비용을 정부가 우선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언제 결핵균에 감염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잠복결핵 검사를 의료진으로 일하는 동안 한 번만 받도록 하는 것도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많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대형병원 의료진 잇단 ‘결핵 감염’… 환자들 비상
입력 2016-08-04 04:09 수정 2016-08-16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