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일 오전 동해상으로 노동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지난달 19일 스커드 미사일 1발과 노동미사일 2발을 발사한 지 15일 만이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전 7시50분쯤 황해남도 은율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며 “1발은 발사 직후 폭발했으며 나머지 1발은 1000㎞ 정도 비행했다”고 밝혔다.
첫 번째 미사일은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TEL)에서 엔진 점화 직후 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1000㎞ 정도 비행한 노동미사일은 일본 아키타현 오가반도 서쪽 250㎞ 지점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낙하했다. 북한 미사일이 일본 EEZ 내에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이 실전배치한 노동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는 1300㎞이다. 노동미사일의 탄두 중량은 700㎏으로 고성능 폭약과 화학탄·핵탄두도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번에 최대 비행거리에 근접하도록 연료를 채운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최대 사거리에 근접하게 노동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무용성을 강조하고 유사시 한반도 증원전력이 파견되는 주일미군 기지를 타격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한반도 증원전력에 대한 견제에 나선 셈이다. 앞서 북한이 3월 평안남도 숙천에서 발사한 노동미사일은 800㎞를 비행했다.
합참은 “북한은 김정은 집권 이후 핵 능력 고도화를 위해 30회 이상 탄도미사일 발사를 해 왔다”며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도발행위”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합참은 또 “북한은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탄도미사일로 대한민국 곳곳을 겨냥함은 물론 주변국까지 타격할 수 있다는 도발 의지와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며 “더욱 강력한 압박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동·서해에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한 것으로 알려져 추가 발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용서하기 어려운 폭거”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 미사일 발사 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관련기사 6면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北 미사일 1000㎞ 비행 日 EEZ 낙하… 아베 “폭거”
입력 2016-08-04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