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강만수(71) 전 산은금융그룹 회장의 지인 회사들에 흘러간 대우조선해양 자금의 종착지를 추적하고 있다. 강 전 회장은 다음주 중 배임과 제3자 뇌물수수 혐의 피의자로 소환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대구의 중소건설업체 W사, 전남 고흥의 바이오에너지 개발업체 B사와 연결된 금융계좌를 광범위하게 쫓는 중이다.
검찰은 지난 2일 두 업체를 압수수색했으며, 3일에는 임직원들을 불러 압수물 관련 조사를 진행했다. 강 전 회장이 대우조선 경영진에 압력을 행사해 이들 업체에 불필요한 투자를 하게 하거나 하도급을 주도록 했다는 게 검찰이 보는 범죄의 기본 구조다.
검찰은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 등으로부터 “강 전 회장의 요청에 따라 어쩔 수 없이 W사와 B사를 지원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대우조선건설은 강 전 회장의 종친 강모(37)씨가 대표로 있는 W사에 수십억원대 아파트 공사 하도급을 맡겼다. 2011년 10여억원에 불과했던 W사의 매출액은 지난해 81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매출 상당부분은 대우조선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과 W사의 하도급 계약 이면에 강 전 회장의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입증되면 제3자 뇌물수수 혐의 적용이 가능하다.
검찰은 대우조선 계열사가 정상적인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2011년부터 B사에 지분 투자하고, 수십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 부분에 대해서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를 두고 있다.
검찰은 더 나아가 W사와 B사의 자금이 강 전 회장 측에 흘러갔는지도 확인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수사는 사람을 쫓는 수사가 아니라 돈을 쫓는 수사”라면서 “대우조선에서 빠져나간 돈의 흐름을 따라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대우조선 경영진의 목숨 줄을 쥐고 있던 강 전 회장이 남·고 전 사장에게 어떤 혜택을 줬는지도 확인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강 전 회장 취임 수개월 뒤인 2011년 11∼12월 기업금융4실이 중심이 돼 대우조선 경영실태를 종합 분석하는 컨설팅을 진행했다. 서면 조사 및 임직원 면담, 현장 조사 등 사실상의 정밀감사였다. 강 전 회장의 지시에 따른 조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재무 상태와 선박 수주 현황, 신사업 투자 실태, 자회사 관리 및 경영진 관련 항목 등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있었던 만큼 경영진의 비리 정황이 상당수 발견됐을 개연성이 높다.
검찰은 B사 등에 대한 대우조선의 지원이 이 시기를 전후해 시작된 점을 주목하고 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檢 강만수 지인 회사 흘러간 ‘대우조선 자금’ 종착지 추적
입력 2016-08-03 18:07 수정 2016-08-03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