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화물차·물류 로봇 등 新산업 키운다

입력 2016-08-03 18:09

정부가 물류 신산업과 융·복합 물류기업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를 세계 10위권 물류국가로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주요 공·항만에 신선물류(콜드체인) 및 전자상거래 맞춤형 물류기반 시설이 공급된다. 물류 로봇, 자율주행 화물차량 등 친환경·고효율 첨단 스마트 물류기술 개발도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2016∼2025년 국가물류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2025년까지 물류산업 일자리를 70만개까지 확대하고, 물류산업 매출액 150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국토부는 “이번 국가물류 기본계획은 제4차 산업혁명 전개, 거대 경제권 출현, 이종산업 간 융·복합 등 경제·기술·사회적 변화를 반영했다”며 “그간 정부 주도, 수출입 물류 위주로 추진되어 온 물류정책 패러다임을 민간 주도, 신물류산업 지원 위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도로운송 분야에서 산업 간 융·복합을 지원하고 도심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고자 ‘도시첨단 물류단지’를 운영할 계획이다. 화물 운송시장의 경우 전기화물차 등 새로운 수송수단 상용화를 위한 법령 정비에 나선다.

해운항만 분야는 초대형 고효율 선박 도입을 위한 선박펀드를 운용하는 한편 운임 파생상품 거래가 가능한 해운거래소 설립을 추진한다. 인천신항에는 신선물류의 중국 수출을 지원하는 ‘콜드체인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부산항에는 가공·조립·제조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525만㎡ 규모의 배후단지를 추가로 세운다. 인천국제공항에는 특송물류센터를 세우는 데 이어 제조·물류 융·복합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배후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드론 배송, 물류 로봇, 스마트 컨테이너 등 첨단 물류기술 개발과 상용화에도 속도를 낸다.

또 물류 연구·개발(R&D) 로드맵을 올해 중 수립해 가상현실(VR)·자율물류·사물인터넷(IoT)·웨어러블기기 등 차세대 물류기술 선점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무인 물류센터 관리 및 초고속 물류, 장거리 운송을 위한 시스템 등 기반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