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지역의 복지 수요 대비 공급이 대도시에 비해 원활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어린이집 부족으로 입소하기 가장 어려운 연령은 만 0세(0∼11개월)까지이고, 국공립 어린이집 비율의 지역 간 격차 역시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일 펴낸 보건복지포럼(7월호)에 실린 ‘지역단위 사회복지·수요 공급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시·도별 복지비율지수(공급지수/수요지수)는 강원이 1.72로 가장 높고 서울과 대구가 0.69로 가장 낮았다.
복지비율지수는 보육, 노인, 장애인, 빈곤 등 4가지 복지 분야의 수요와 공급을 지역별로 계산해 산출했다. 지수가 1보다 클 경우 복지 수요 대비 공급이 크다는 의미이고, 작으면 반대다.
집계 결과 전국 평균은 1.07로 조사됐다. 전반적으로 특별시나 광역시 같은 대도시 지역이 도 지역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기초자치단체별 구분에서도 군 지역의 지수는 1.33으로 시(1.00), 자치구(0.85)보다 높았다. 농산어촌 등 시골 지역의 복지 공급이 대도시보다 더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또 어린이집 시설 부족으로 입소가 가장 어려운 영아기(0∼2세) 연령대는 만 0세(0∼11개월)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포럼 7월호에 실린 ‘영아기 양육지원 인프라 현황과 과제’에 따르면 만 0세의 어린이집 수요율은 30.1%였지만 상당수 지역의 이용률은 이보다 낮았다. 서울이 27.1%인 것을 비롯해 대구(26.2%) 인천(28.5%) 울산(23.8%) 충북(27.9%) 등에서 미충족 수요율이 높았다. 특히 부산의 경우 22.0%에 불과했다. 김은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전반적으로 0세의 시설 서비스 미충족 지역이 가장 많아 0세아에 대한 시설 서비스 공급 개선이 요구된다”며 “지역별로는 부산의 수급 현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 비율도 지역별로 차이가 커 서울의 경우 12.4%가 국공립이었으나 대전은 1.7%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복지 공급, 강원 최고,서울·대구 최저
입력 2016-08-03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