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 측 반발과 공세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저강도 보복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 대구 치맥페스티벌에 참가하려던 중국 대표단 규모가 대폭 줄었고, 중국 블로거들의 강원도 방문 계획이 돌연 연기됐기 때문이다. 한류 문화 콘텐츠에 대한 중국의 보복 움직임도 가시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좌지우지하는 언론은 한국을 저급한 용어로 폄훼하고 강력한 보복 조치를 주문하고 있다. 언론의 무차별적인 비난은 중국이 고강도 보복을 위해 명분을 쌓는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중국 언론의 사드 비난 발언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인민일보, 환구시보, 광명일보, 해방군보 등이 비난 대열에 앞장서고 있다. 이들 언론은 한국에 대해 “미국의 앞잡이” “미국의 졸개”라는 폭언을 쏟아냈다. 시도 때도 없이 극언을 퍼붓는 북한 매체와 닮은꼴이다. 또 “사드 배치는 한국의 정치·경제·안전·환경·사회 등 각 부문에 위험을 초래하고 일단 충돌이 폭발하면 한국이 먼저 공격당할 것”이라는 위협도 서슴지 않고 있다. 경제·무역 분야의 징벌,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 조성, 중·러 공동 대응 등 구체적인 보복 방안도 내놓고 있다. 경제·군사대국인 G2에 걸맞지 않은 언행이다.
중국 당국과 언론은 한·미 양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부터 한국 국민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자위적 수단으로 사드 배치를 결정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그런데도 “사드 배치는 북핵과 미사일 개발을 더 부추겨 한국을 더 큰 위험 속에 몰아넣는다”는 주장을 늘어놓고 있다. 이는 동북아와 한반도의 안정을 심대하게 위협하는 북한을 두둔하고 한·미 관계를 이간질하려는 궤변일 뿐이다. 이런 엄중한 시점에 김충환 전 청와대 비서관과 이상만 교수가 북한의 책임은 지적하지 않고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글을 인민일보에 게재한 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다. 국익에 반하고 중국에 놀아나는 행동이다. 우리 정부와 국민은 중국의 고강도 보복 조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일에도 외교력을 집중하기 바란다.
[사설] 중국의 ‘사드 반발’ 도 넘었다
입력 2016-08-02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