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기? 버리기?… 朴 대통령 ‘우병우 해법’ 촉각

입력 2016-08-02 04:05

우병우(사진)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를 둘러싼 박근혜 대통령의 결정은 언제 이뤄질까.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임명한 ‘내 사람’에 대해 커다란 신뢰를 보내왔다. 그런 만큼 최근 계속 이어지는 우 수석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실제 ‘부적절한 처사’가 확인되지 않는 이상 계속 업무를 믿고 맡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일 제기되는 의혹과 사퇴 촉구에도 뚜렷한 비위가 드러나지 않는 한 박 대통령의 선택은 ‘우 수석 안고 가기’가 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의 참모 인사 스타일은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3명의 교체와 측근 3인방인 이재만 정호성 안봉근 청와대 비서관 사례에서 가늠할 수 있다. 신뢰하는 참모들에 대해선 야권의 거센 요구에도 불가피한 선택의 순간이 오지 않는 이상 교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 전 원장은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논란,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파문으로 1년 넘도록 야권의 집중포화를 받았지만 박 대통령은 계속 신뢰를 보냈다. 결국 세월호 사고 이후에서야 정국 수습 차원에서 그를 교체했다. 세월호 참사 직후 “(청와대는) 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다”고 해 논란을 불러온 김 전 실장도 함께 교체됐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점을 보여주듯 2개월 뒤 이들을 따로 청와대로 불러 격려하고 위로했다. 김 전 실장은 이후 주중대사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야권으로부터 불통(不通)의 진원지라는 비판을 받았던 김기춘 전 실장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보기 드물게 사심이 없는 분”이라고 옹호했다. 한달여 뒤 교체했지만 경질보다는 사의 수용이라는 측면이 강했다.

이른바 ‘비선실세’ 논란 당시 문고리 3인방으로 지목됐던 이재만 정호성 안봉근 청와대 비서관의 교체 압박에도 박 대통령은 단호히 거부했다. 박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의 진짜 실세는 진돗개”라고 한 데 이어 2015년 1월 신년기자회견에선 “의혹만으로 내치거나 그만두게 하면 누가 옆에서 일하겠나”라며 직접 교체 불가 방침을 밝혔다. 대신 안 비서관을 수평이동시키는 선에서 인사를 마무리지었다. 여권 관계자는 1일 “참모들 인사에서 보듯 박 대통령은 야권이나 여론의 요구가 거세다고 해서 교체하진 않는다”며 “내 사람에 대해선 큰 과오가 없는 한 끝까지 함께 가는 게 박 대통령 인사 스타일”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우 수석 건은 상황이 다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가뜩이나 국정 주도권 장악이 어려운 집권 4년차에 인적 쇄신 타이밍마저 놓칠 경우 그에 따른 박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청와대는 거듭 “우 수석이 정상적으로 업무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지난 6월 방문했던 강원도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에 친필 방명록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홍천군수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박 대통령은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창의적 발상과 주민 참여로 이룬 제2의 새마을운동”이라고 적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