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화장품업계 면세점 판매수량 제한에 한숨

입력 2016-08-01 17:51 수정 2016-08-01 17:52

관세청의 면세점 1인당 판매 수량 제한 지침에 화장품 업계가 울상이다. 최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결정으로 한·중 관계 악화로 대중국 수출 전망이 밝지 않은 가운데 관세청의 예상치 못한 규제 신설로 매출에 타격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상위 부처인 기획재정부가 경기를 살리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안까지 편성하는 와중에 산하 기관인 관세청은 경기 위축 대책을 내놓는 등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1일 관세청에 따르면 각 면세점은 지난달 11일부터 1인당 상품 판매 수량을 제한하는 지침을 시행 중이다. 지침에 따르면 출국일 기준으로 가방과 시계는 합산해 10개 이내, 화장품과 향수는 50개 이내로만 면세품을 살 수 있다. 일부 중간상들이 화장품 등 인기 면세품을 대량으로 사들이는 불법행위를 막기 위한 조치라고 관세청은 설명했다.

그러나 당국의 규제로 면세점 판매 비중이 큰 화장품산업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화장품산업의 면세품 비중은 약 25%다.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관계자는 “싹쓸이해가는 관광객들이 줄면 전체적으로 매출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면세점 수량 제한 조치가 알려진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2.06%(8000원) 떨어진 38만원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8일 사드 배치 공식 발표 이후 줄곧 하향세를 그리고 있다. LG생활건강(-6.05%) 한국화장품(-4.42%) 잇츠스킨(-5.68%)도 하락세로 장을 마감했다. NH투자증권 한국희 연구원도 “전문적 중간 유통상들이 활동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규제 정책은 화장품 업계의 중단기 실적 위험 요인이자 투자심리 냉각 요인”이라고 밝혔다.

나성원 김유나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