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감염 예방을 위한 선별진료나 출입통제 실천율이 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이후 반짝했던 의료기관의 대응이 다시 무뎌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정부는 응급실 선별진료와 출입통제를 의무화하는 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5일 전국 40개 권역응급센터를 대상으로 불시에 현장점검을 한 결과 ‘응급실 입구에서 마스크 착용하고 환자 분류’ 실시율이 65%에 그쳤다고 31일 밝혔다. 지난 4월 145개 권역·지역응급센터를 대상으로 했던 1차 조사(95.9%), 5월 60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 2차 조사(77.6%)와 비교해 크게 떨어진 수치다. 보호자·방문객 출입통제실시율도 75%로 1차(96.6%), 2차(84.4%)보다 낮아졌다.
대부분의 응급센터에서 격리병상 설치 공사 등으로 어수선한 분위기 때문에 출입 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용자가 바뀐 기준에 익숙하지 못한 점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복지부는 “그럼에도 감염병 대응 실천율이 직전 조사보다 10% 포인트 감소한 것은 우려할 만하다”면서 8∼9월에 다시 불시 현장점검을 벌이기로 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잊혀진 메르스… 응급실 선별진료 흐지부지
입력 2016-07-31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