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에 나오는 헬라인은 ‘그리스의’를 뜻하는 그리스어 ‘헬라’에다 ‘사람 인(人)’을 붙여 ‘그리스 사람’을 뜻합니다.
영어에서 접두어 Helle-가 붙으면 Hellenic(그리스의), Hellenism(헬레니즘), Hellenize(그리스풍으로 만들다)처럼 그리스, 특히 고대 그리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Greek’도 ‘Hellenic’과 거의 같은 뜻이지만 현대까지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오늘날 그리스의 공식국가명은 헬레닉 공화국(Hellenic Republic)입니다.
신약성서에서 헬라인은 주로 유대인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쓰였습니다. 유대인이 아닌 이방 사람, ‘우리’가 아닌 ‘다른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었지요.
사도 바울과 그의 형제 디모데가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에게 편지를 보냈습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옛 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 버리고(골로새서 3장 9절), 새 사람이라는 옷을 입는 일이라 썼습니다. 이 새로운 삶에는 헬라인과 유대인의 구별이 없고 “오직 그리스도만이 모든 것이며 모든 것 안에 계십니다”(3장 11절, 새번역)라고 했습니다.
박여라 영문에디터 yap@kmib.co.kr
[인 더 바이블] 헬라인
입력 2016-07-31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