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당권 도전을 선언한 비박(비박근혜)계 정병국 김용태 의원이 28일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 계파 청산과 혁신을 내세웠지만 친박(친박근혜)계는 단일화야말로 계파주의라며 반발했다.
정·김 의원은 오후 충남 천안에서 열린 충남도당 위원장 이·취임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8·9전대가 새누리당 혁신의 마지막 기회이며, 당을 위기로 몰아넣은 특정 계파 패권주의를 배격하는 개혁 세력의 구심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둘은 이날 오후부터 29일 정오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단일 후보를 확정키로 했다. 여론조사는 당원과 일반국민 비율을 7대 3으로 정한 전당대회 룰처럼 새누리당 지지층 70%, 일반국민 30%를 대상으로 정하기로 했다.
양측은 애초부터 단일화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 왔다. 친박계에 비해 조직력 열세를 보이는 만큼 후보 난립으로 표가 분산되면 승리 가능성이 낮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비박계 후보인 주호영 의원은 일단 한발 물러섰다. 주 의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공약발표 후 “저도 단일화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하지만 명분, 시기, 방식 등 여러 가지로 견해를 달리하는 부분이 있어서 이번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다만 “특정 계파가 후보를 지원한다든지 해서 이번 전대가 계파 대결구도로 가면 저도 차선의 선택을 위한 길을 열어두고 있다”며 단일화 참여 가능성을 열어뒀다.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주영 의원은 정·김 의원의 단일화 합의를 맹비난했다. 그는 “(비박 후보 단일화는) 또 다른 계파 대결을 하자는 행위로 당원과 국민에 대한 분명한 배신”이라며 “비박으로 분류된 후보가 기어코 단일화를 결행한다면 그것은 곧 친박 단일화를 하라는 뜻으로 해석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른 친박계 후보인 한선교 이정현 의원도 여러 차례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해 왔다. 현재로선 비박계는 단일화 구도로, 친박계는 각자도생 구도로 전대를 치를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당권 도전자가 5명으로 줄게 돼 컷오프도 사라진 만큼 비박계 단일 구도가 견고해지면 친박계도 합종연횡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비박’ 정병국-김용태 전격 단일화
입력 2016-07-28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