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도 여제’ 장미란(33·사진)이 4년 만에 2012 런던올림픽 동메달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역도연맹(IWF)는 28일 “런던올림픽에서 채취한 소변과 혈액 샘플을 재조사한 결과 11명의 샘플에서 금지약물 성분이 검출됐다”며 “이중 6명이 메달리스트”라고 발표했다. 도핑 양성 반응을 보인 선수들 중엔 여자 역도 최중량급(75㎏ 이상)에서 동메달을 딴 흐리프시메 쿠르슈다(29·아르메니아)의 이름이 포함됐다. 쿠르슈다는 스테로이드의 일종인 스타노졸롤(Stanozolol)에 양성 반응을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장미란은 런던 올림픽 당시 4위로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 장미란은 인상 125㎏ 용상 164㎏, 합계 289㎏을 들었다. 쿠르슈다는 인상 128㎏ 용상 166㎏, 합계 294㎏를 들어올려 장미란을 제치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장미란은 쿠르슈다를 따라잡기 위해 왼 어깨 통증을 무릎 쓰고 용상 3차 시기에서 170㎏에 도전했으나, 바벨을 뒤로 떨어뜨려 실패했다.
쿠르슈다가 금지약물 양성 반응을 보여 장미란이 런던 올림픽 동메달을 거머쥘 가능성이 커졌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쿠르슈다의 메달 박탈을 확정하면 장미란은 동메달리스트가 된다.
장미란은 2004 아테네 올림픽 여자 역도 최중량급에서 은메달을 따며 한국 역도의 간판스타로 떠올랐다. 이후 2005 2006 2007 2009년 세계선수권대회 4연패와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로 세계 정상에 섰다. 베이징 대회에서는 인상 140㎏ 용상 186㎏, 합계 326㎏을 들어올려 세계 신기록을 썼다.
장미란이 동메달리스트로 이름을 올리면 올림픽에서 금메달과 은메달, 동메달을 모두 딴 선수가 된다. 또 한국의 런던 올림픽 동메달 개수는 8개로 늘어난다. 당시 한국은 금메달 13개, 은메달 8개, 동메달 7개로 종합 5위의 성적을 거뒀다. 동메달 1개가 늘어도 순위 변동은 없다.
지난 23일에는 베이징 올림픽 여자 역도 48㎏급에서 4위에 그쳤던 임정화(30)가 8년 만에 동메달을 가져왔다. 임정화는 당시 인상 86㎏ 용상 110㎏, 합계 196㎏으로 천웨이링(대만)과 같은 무게를 들어올렸지만 체중 500g이 더 나가 메달을 놓쳤다. 당시 은메달을 딴 시벨 오즈칸(터키)이 금지약물 복용으로 메달이 박탈돼 천웨이링이 은메달리스트로 올라섰다. 임정화는 수순대로 동메달리스트가 됐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런던올림픽 4위 장미란 ‘약물 파동’에 銅 승격될 듯
입력 2016-07-28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