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의장국인 라오스가 북한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 등 전략적 도발에 대한 우려를 담은 의장성명을 27일 발표했다. 중국 등이 포함을 강하게 주장해 온 것으로 알려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의장성명은 8항에서 “장관들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지난 1월 6일 (4차) 핵실험과 2월 7일 장거리 미사일(로켓) 발사, 지난 7일 탄도미사일 발사 등을 포함한 한반도 상황 전개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또 “장관들은 이 지역에서의 평화와 안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평화로운 방식의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아세안의 지지를 재표명했다”고 말했다.
의장성명은 “대부분의 장관은 안보리 결의 2270호를 포함한 모든 관련 안보리 결의들을 북한이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모든 당사국들이 역내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고 평화로운 방식으로 한반도 비핵화에 추가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경주할 것을 촉구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장관들은 인도적 우려 사안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의장성명은 올해 아세안 의장국이 친북 국가인 라오스였음에도 불구하고 ARF 외교장관회의가 끝난 지 하루 만에 발표됐다. 특히 지난해보다 더욱 진전된 ‘북핵 우려’ 내용을 담고 있어 사실상 우리 측의 외교적 승리라는 평가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의 올해 도발, 비핵화 문제 등에 대해서는 어떤 나라도 다른 입장을 가지기 어려운 사안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일부 국가가 문안 협의 과정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를 비난하는 내용을 넣으려 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당국자는 구체적으로 나라명을 거명하지 않았지만 중국과 북한, 러시아 등으로 추정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의 심각성에 주의를 환기하고 대북 압박을 통해 북한이 전술적, 전략적 계산을 바꾸도록 해야 함을 설득했다”면서 “대부분 국가들이 북한에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으며 한·미·일·호주 등과의 견고한 공조를 통해 만족스러운 문안 협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비엔티안=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사드 언급’ 없었다… ARF 의장성명 발표 “北 핵·미사일 우려”
입력 2016-07-27 21:35 수정 2016-07-28 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