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수요 예측 잘못… 찬밥 된 LNG발전소

입력 2016-07-28 04:24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여름철을 맞았지만 LNG발전소에는 여전히 찬바람이 분다. 전력시장에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나면서 LNG발전소는 뒷전으로 밀려 피크시즌에도 절반 이상이 ‘개점휴업’ 상태다. 한때 전력 부족 사태가 빚어질 때 등 떠밀려 LNG발전소를 무더기로 지었지만 잘못된 수요 예측으로 전기가 남아돌자 천덕꾸러기 신세가 된 것이다.

‘블랙아웃’ 구원투수서 천덕꾸러기로

LNG발전소는 2011∼2012년 ‘전력대란’을 겪으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원자력이나 석탄 대비 준공기간이 짧아 즉시 투입 가능한 전력원으로 부각됐다. 정부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민간 LNG발전소 건설을 장려하고 나섰다. 2011년 2만1740㎿ 규모였던 LNG발전 설비용량은 2013∼2015년 급격히 늘었다. 지난 3월 기준 LNG발전소 설비용량은 3만2518㎿로, 5년 새 50%가량 증가했다. 전체 전력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2.91%로 2012년까지 1위였던 석탄발전을 넘어섰다.

그러나 러브콜을 받았던 LNG발전소의 가동률은 매년 하락하고 있다. 27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2014년 53.2%였던 가동률은 지난 4∼5월 두 달간 30%를 넘기지 못했다. 이런 현상은 단가가 싼 발전소부터 가동하는 전력업계 특성 때문이다. 발전원가는 원자력→석탄→LNG 순이다. LNG발전은 정부가 지원하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또 밀린다. 현재 총 발전설비용량은 9만8794㎿다. 올해 최대치였던 지난 26일 전력수요량이 8만1110㎿임을 감안하면 여름철 피크시즌에도 대략 1만㎿의 LNG발전소가 가동을 멈추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정부, 친환경 LNG 대안론도 외면

정부는 그동안 LNG발전소로 급한 불을 끄면서 원자력과 석탄발전 비중도 동시에 늘리는 정책을 펼쳐 왔다. 원자력 발전은 2011년 1만8716㎿에서 올해 2만1715㎿로 늘었고, 같은 기간 석탄과 신재생에너지도 각각 2355㎿, 4556㎿ 늘었다. 가동률을 감안하면 석탄발전의 비중이 가장 크다.

정부의 이런 전력정책 기조는 온실가스 등 환경문제 대응에 역행하는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유해물질 배출량이 적은 LNG발전으로 기후변화 등 환경이슈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LNG발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석탄발전의 44% 수준이다.

그러나 정부는 정작 수조원을 들여 건설한 LNG발전소들을 놀리고 있다. 실제 2013∼2014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평택ES의 오성복합 발전소(833㎿)와 포천파워의 포천복합 1·2호기(1450㎿)의 지난 4월 가동률은 각각 16%, 33%에 불과하다. 포스코에너지와 GS EPS, SK E&S 등 규모가 큰 업체들의 최신 발전소들은 그나마 60∼70%대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노후화된 발전소는 거의 가동중단 상태다.

정부는 전기요금 인상 압박 때문에 LNG발전 비중을 높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최소한 LNG발전소를 유지할 수 있는 CP(용량요금)를 현실화해 달라는 업계 요구에도 소극적이다. 현재 CP는 ㎾h당 7.60원이 책정돼 있는데 2001년 이후 동결되다 올해 처음 0.16원 오른 가격이다. 업계는 CP를 10원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결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