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윤리위 ‘공천 녹취록’ 결론 못 내

입력 2016-07-27 18:00 수정 2016-07-27 21:09
새누리당 윤리위원회가 친박(친박근혜)계 핵심들이 연루된 공천개입 녹취록 사건에 대해 논의했지만 조사 여부조차 결론을 내지 못했다. 사건 내막을 자세히 알 수 없고, 전당대회 때 계파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는 등의 이유에서다. 다만 “녹취록 사건은 국민의 신뢰를 구조적으로 무너뜨린 자해적 행위”라는 이진곤 위원장 개인 의견만 표명됐다.

이 위원장은 27일 여의도 당사에서 윤리위 전체회의 후 기자회견을 갖고 “거당적 축제가 돼야 하고, 내년 정권 재창출을 위해 일치·단결해야 할 전대를 앞두고 (윤리위가) 잘못 건드리면 특정 정파에 이익을 줄 수 있고 계파갈등을 부채질할 수 있다”며 녹취록 사건에 대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회의에서) 새 지도부가 출범하더라도 이 문제를 완전히 덮을 수는 없다는 의견, 공천 당시 문제가 제기됐어야 하는데 지금 와서 폭로한 걸 정색하고 안건으로 올리는 게 이상하다는 의견 등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윤리위는 녹취록 사건 진상조사 여부에 대해서도 “하루 이틀 내에 진상을 규명할 수 있는 일이 아니고 곧 당헌·당규가 개정돼 당무감사위원회가 꾸려진다”며 “새 지도부가 구성되면 거기서 어떤 논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대 전까지는 조사에 착수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이 위원장은 다만 “제 개인적으로 봤을 때는 정말 심각한 문제”라며 “심각한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개인 의견을 밝혔다. 그는 “이 사태의 전말과 진상은 차기 지도부에 의해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돼야 하고, 명명백백히 전 과정이 규명돼야 한다”며 “그 이전이라도 연루된 사람들은 통렬한 자기반성의 모습을 국민께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윤리위는 이날 친인척을 보좌진으로 채용한 의원들에 대해서도 징계 대신 ‘주의’를 촉구하는 데 그쳤다. 이 위원장은 “전수조사 결과 9명이 밀접한 관계자를 보좌진으로 채용했는데 이번에 문제가 되니까 전부 사퇴시켰다”며 “앞으로 또다시 이런 일 있이 발생할 경우 당원권을 최소 6개월 이상 정지하는 중징계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윤리위는 부장판사 출신인 전주혜 위원을 윤리관으로 임명,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이군현 의원 사건에 대해 조사토록 결정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