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67개 학교에 깔려 있는 우레탄 운동장·트랙이 납과 카드뮴, 크롬 등 중금속을 잔뜩 머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학교에선 중금속이 기준치의 100배 이상 검출됐다. 중금속이 나오지 않도록 규정을 강화한 이후에도 ‘중금속 우레탄’을 설치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부실한 관리·감독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27일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열고 지난 3∼6월 이뤄진 학교 우레탄 운동장·트랙 전수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우레탄 운동장·트랙이 설치된 초·중·고교는 모두 2763곳이다. 이 가운데 1767곳(64%)에서 기준치를 넘어서는 중금속이 검출됐다. 납은 1767곳, 크롬은 22곳, 카드뮴은 1곳에서 나왔다.
‘중금속 우레탄’을 깐 초등학교는 861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등학교 450곳, 중학교 420곳, 특수학교 36곳이었다. 중금속이 기준치의 100배를 초과해 검출된 학교 중에 초등학교는 6곳, 중학교는 2곳, 고등학교는 5곳, 특수학교는 2곳이었다. 50배 초과∼100배 이하 25곳, 30배 초과∼50배 이하 107곳, 20배 초과∼30배 이하 332곳, 10배 초과∼20배 이하 730곳 등이었다.
특히 정부가 우레탄시설 관련 규정을 강화한 뒤에도 ‘중금속 우레탄’을 계속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2011년 4월부터 한국산업규격(KS기준)을 적용해 우레탄 시설에서 중금속이 나오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2011년 첫 적용 때는 용출법(표면검사 방식)을 활용했지만 2012년 12월부터 함량법(샘플 채취 후 함량 검사)으로 조사 방식을 강화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 4월 이후 우레탄 운동장·트랙을 설치한 학교 522곳에서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준공검사가 ‘날림’이었다는 얘기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공업체가 하청과 재하청을 주면서 빚어진 일”이라며 “공사기간을 단축할수록 업체는 이득이다. 이 때문에 우레탄을 빨리 굳히는 납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준공검사를 철저히 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12년 12월 이후 설치된 우레탄 시설의 경우 업체에 책임을 묻겠지만 이전에 설치된 곳은 시일이 많이 지나 조달청의 유권해석을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부는 학교 농구장 등 기타 우레탄 시설과 유치원·대학에 대해서도 이른 시일 안에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번 전수조사에서 문제가 드러난 우레탄 운동장·트랙을 교체하는 데 1475억원이 필요하고, 농구장 등 다른 시설까지 감안하면 2000억원 이상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우선 교육부는 특별교부금 170억원과 시·도교육청 예산 340억원을 투입해 운동장 전체가 우레탄인 학교, 중금속이 많이 나온 학교부터 여름방학 기간에 교체 작업을 마칠 방침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우레탄 운동장 1767곳이 중금속 기준치 초과
입력 2016-07-28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