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북핵 강력 규탄” 中 “사드 우려 명시”

입력 2016-07-27 04:00
정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외교행사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의 의장성명에 강력한 북핵 규탄 메시지를 담고자 총력전에 나섰다. 동시에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북·중·러의 반대 입장이 들어가지 않도록 미국과 공조하는 등 설득 작업에 돌입했다.

ARF에 첫 참석한 이용호 신임 북한 외무상은 26일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열린 ARF 외교장관회의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전례 없이 증대되고 있다”면서 “미국의 핵폭격기, 핵잠수함, 사드를 비롯한 전략자산들이 끊임없이 조선반도에 투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외무상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와 관련, “미국의 끝이 없는 핵 위협에는 부득불 핵억제력으로 맞서는 방도밖에는 없다는 전략적 결단을 내릴 때 우리는 이미 있을 수 있는 모든 제재를 각오했다”면서 “그 어떤 제재에도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 외무상은 또 “추가 핵실험은 전적으로 미국의 태도에 달렸다”라고 말했다.

이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1월 북한은 4차 핵실험 이후 15번에 걸쳐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도발의 위협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엄중해지고 빈도도 강화됐다”면서 “실제로 우리를 공격하겠다는 의도를 명백히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어 “때문에 이 위험을 모든 나라에 밝히고자 한다. 국제사회, 지역사회가 일치되고 강력한 메시지를 북한에 건네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충실하게 이행한다는 차원에서라도 지금이야말로 일치단결해 한목소리로 북한에 경고의 목소리를 보내주자”고 강조했다.

ARF 외교장관회의 이후 각국은 의장성명 작성을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우선 초안을 만든 뒤 각국이 이를 회람하며 수정 의견을 받아 고치는 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각국별 의견 차이가 있어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북핵과 관련해 의장성명에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도 아직 불투명하다. 중국과 러시아가 의장성명 초안에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우려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한·미와 중·러의 외교전이 치열해질 전망이다.》관련기사 3·4면

비엔티안=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