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의 숙원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대표회장 이영훈 목사)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대표회장 조일래 목사)의 통합이 한 걸음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7개 주요 교단장이 26일 채택한 ‘한기총 한교연 통합을 위한 성명’은 과거 어느 때보다 구체적이고 실현가능성 있는 통합 방안을 담았다. 특히 한교연과 한기총 어디에도 소속된 적이 없었던 기독교대한감리회(전용재 감독회장)와 한기총 탈퇴 후, 한교연에도 가입하지 않았던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박무용 총회장)까지 가세한 만큼 대표성도 충분히 확보돼 있다.
◇최대 걸림돌인 이단 문제 해결=한기총과 한교연 통합의 최대 걸림돌은 이단 교단 문제였다. 한교연은 한기총이 2013년 이단에서 해제한 ‘다락방전도총회(류광수)’가 회원으로 있는 한 통합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해왔다. 예장합동도 같은 입장이었다. 공교단이 이단으로 지정했는데 연합기관인 한기총이 임의로 해제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해법은 한기총과 한교연의 분열 전인 2011년 7월 7일 한기총 특별총회에서 의결된 ‘7·7정관’이었다. 7개 교단장이 이날 출범시킨 ‘한기총과 한교연 통합협의회(한통협)’는 ‘7·7정관’을 통합 정관으로 채택한다고 밝혔다. 7·7정관의 핵심 중 하나가 ‘66개 교단과 19개 단체 회원’이다. 당시 다락방은 회원이 아니었다. 한통협이 7·7정관을 통합정관으로 채택키로 함에 따라 다락방 등은 일단 배제한 뒤 필요하면 재가입 절차를 밟도록 했다.
7·7정관 복원은 한교연이 통합을 위한 조건으로 내세운 것이기도 하다. 한교연은 2014년 3월과 5월 두 번에 걸쳐 임원회를 열고 한기총이 7·7정관 복원을 수용하면 양 기구 통합을 위한 통합위원회를 구성한다고 결의했다.
◇남은 과제는=이번 합의는 이전의 통합 움직임과는 성격이 다르다. 통합의 당사자인 한기총과 한교연에 맡겨두지 않고 주요 공교단이 직접 나서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이미 기득권이 돼 버린 두 연합기관이 주도해선 통합의 동력이 형성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판단이 깔려 있다. 그만큼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하나 된 연합기관에 대한 요청이 시급하고도 절박함을 보여준다.
실천신학대학원대 손인웅 총장은 “교단장들이 나서서 한기총과 한교연의 통합 추진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로 논의했다는 것은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그동안 시간이 많이 지나긴 했지만 두 기관이 하나 되는 것이 주님의 뜻이라는 믿음을 갖고 대승적 차원에서 통합을 준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교회 대부분이 통합에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지만 한기총과 한교연의 통합이 순항을 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들도 있다. 특히 통합을 하는 각론, 즉 구체적인 절차와 과정에 대한 이견이 남아있다.
한교연의 경우 이날 통합 결의를 주도한 한통협에 대해 대표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최귀수 한교연 선교교육국장은 “통합을 추진하려면 한교연에서 파송해 대표성을 가진 이가 논의의 주체로 참여해야 하는데 한통협은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한교연을 통합 당사자로 인정하지 않고 한기총에서 떨어져 나간 단체, 다시 한기총으로 들어와야 하는 단체로 인식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교연이 그리는 통합 기구의 모습도 한통협과 상이하다. 한교연은 교단별 교인 수에 따라 대의원을 배당한 뒤 5명의 지도부를 선출하고 2명은 지명하는 방식으로 7인 집단지도체제를 만드는 방안을 갖고 있다.
이제 공은 각 교단의 총회로 넘어갔다. 연합기관은 회원 교단의 뜻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기에 연합기관의 통합도 회원교단의 결의에 따른다. 오는 9월 일제히 정기총회를 갖는 장로교단들의 움직임이 통합 가능성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병선 최기영 기자 junbs@kmib.co.kr
‘다락방’ 문제 해결로 급진전… 9월 장로교단 총회가 관건
입력 2016-07-26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