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정체는?… 정부 ‘가스냄새’ 늑장 조사

입력 2016-07-26 17:51 수정 2016-07-26 21:40
국민안전처는 최근 부산과 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정체불명의 가스 및 악취와 관련해 26일 긴급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했다.

그동안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국민들의 불안감이 확산되는데도 재난사고의 컨트롤타워인 국민안전처는 손을 놓고 있다가 최초 신고가 접수된 지 5일 만에 긴급 점검회의를 소집, 부랴부랴 조사단을 꾸려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합동조사단은 국민안전처,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기상청, 경찰청,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8개 기관으로 구성됐으며 부경대 서용수 박사가 단장을 맡았다. 조사단은 다음 달 3일까지 현장점검을 실시한 뒤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국민안전처는 가스 및 악취가 지진 전조(前兆) 현상이라는 등 근거 없이 유포되고 있는 유언비어 등으로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기상청을 중심으로 대국민 홍보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 환경부 주관으로 부산·울산지역 유해화학물질 다량 취급 사업장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가스·악취 냄새 발생 가능성이 있는 시설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확인 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이에 앞서 부산시는 가스 냄새 관련 괴담 유포에 대해 경찰 수사를 의뢰하고 범정부 차원의 조사를 요청했다. 시는 가스 냄새 신고 후 관계기관과 의심사항에 대한 분야별 조사와 다섯 차례 회의를 거쳤지만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

울산시는 지난 23일 울산지역 가스 냄새가 석유화학공단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유화학단지는 봄부터 가을까지 정기 보수 과정에서 파이프에 남은 연료들을 태워버리기 때문에 악취 민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하절기 악취 예방을 위해 악취점감 대책 수립 및 종합상황실 운영, 악취 다량 배출 업소 기획점검 및 정밀 기술진단, 기업체 정기 보수 일정 조정, 기타 민간자율 환경순찰반 운영과 악취 중점 관리업소 관리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재중 기자

부산·울산=윤봉학 조원일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