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외교수장이 2년 만에 만났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이 ‘북한 끌어안기’를 더욱 노골화하는 모양새다. ‘한·미·일 대 북·중’의 대립 구도가 더욱 고착화될 가능성도 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차 라오스를 방문 중인 이용호 북한 외무상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25일 수도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만나 회담을 가졌다. 북·중 양자회담이 성사된 건 2014년 미얀마 ARF 이후 2년 만이다.
왕 부장은 회담 모두발언에서 “중·조(북한) 관계의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할 용의가 있다”면서 “중·조 관계를 비롯한 공동 관심사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외무상도 “(중국과) 앞으로 적극 협력하는 외교 관계를 맺고 싶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북·중 회담 후 비엔티안 미디어센터(ICTC)로 이동해 기자회견을 가졌지만 한반도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회견장을 나서면서 ‘북·중 회담이 어땠느냐’는 우리 측 기자의 질문에 “좋았다”고만 답했다. 다만 중국 외교부는 왕 부장이 회담에서 “중국 측은 (한)반도의 비핵화, 평화·안정 유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견지한다. 이 기본 정책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북핵 불용’ 입장만큼은 분명히 짚고 넘어간 셈이다.
우리 측은 전통적 우방인 미·일과 소통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무책임한 핵무기 개발은 지역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윤 장관은 “한·미동맹이 그 어느 때보다도 깊고 넓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명확하고도 강하게 전달할 때”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도 만나 ‘12·28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를 원활히 이행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공동 대응하기로 뜻을 함께했다.
이에 따라 사드 배치 결정 이후 한반도 정세가 ‘한·미·일 대 북·중’의 구도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게 됐다. 북·중 관계 개선으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공조도 모멘텀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윤 장관은 “과거 냉전시대처럼 북·중·러, 한·미·일 이런 구도가 다시 나타나는 건 과도한 전망”이라고 했다.
비엔티안=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2년 만에 만난 北·中… ‘사드 연대’ 노골화
입력 2016-07-26 0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