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사드 배치가 방위력 향상에 기여할 것”

입력 2016-07-26 05:43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 세 번째)이 25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가진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외교부 제공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차 라오스를 방문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4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에 이어 25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을 만났다. ARF를 계기로 동북아 주요 국가의 외교수장과 잇달아 접촉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로 다소 냉랭했던 한·중과 달리 한·미, 한·일 회담은 훨씬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 한·미·일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각종 도발 이후 공조를 더욱 강화해 왔다. 이번에도 북한의 전략적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회담에서 한·미는 우선 올해 안에 양국 외교부·국방부 장관이 참석하는 ‘2+2 장관회의’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하는 데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또 북핵 등 북한 문제 전반과 한·미동맹, 주요 지역과 글로벌 이슈를 논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핵·북한 문제의 엄중함과 시급성을 고려해 회담의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고 설명했다.

두 장관은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나올 때까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압박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26일 열리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ARF 외교장관회의에서 국제사회의 분명하고 단호한 의지를 북한이 느낄 수 있도록 함께 대응하기로 했다.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도 논의됐다. 두 장관은 주한미군 사드 배치가 한·미 연합 방위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24일 한·중 외교장관회담과 25∼26일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방중 등 사드 배치 결정 이후 한·미 양국의 대중(對中) 소통 노력을 평가했다.

윤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의 한·일 회담에선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등 한·일 관계 전반, 북한의 핵 개발 등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기시다 외무상은 위안부 합의를 이행해 한·일 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북한의 도발에 대한 한·일의 긴밀한 공조를 평가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후 “두 장관은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를 포함해 한·일 관계 전반과 북핵 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교환을 했다”면서 “윤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은 합의의 충실한 이행에 협력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인 재단 설립 문제와 관련, 윤 장관은 지금까지의 재단 설립 동향을 설명했다. 한·일 양측은 재단을 조속하고도 원활히 출범시키기 위해 국장급 협의 등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뜻을 같이했다. 다만 일본 정부의 10억엔 출연 시기와 위안부 소녀상 이전 문제는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한·일 회담에선 아세안의 최대 이슈인 남중국해 문제도 거론됐다. 한·미 회담에선 ARF 일정을 논의하던 중 케리 장관이 간략히 언급했으며 한·일 회담에서도 서로의 기본 입장만 간단히 교환했다고 한다.

비엔티안=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