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급식 파문을 일으킨 대전 봉산초등학교 급식문제는 식재료 구입 과정에서의 입찰제도 모순과 부실관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 봉산초 학교급식 진상조사위원회는 25일 대전시교육청 브리핑룸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진상조사위는 현재 진행 중인 대전시교육청 특별감사에서 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 적절한 조처를 해 줄 것도 요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일부 학년 또는 학급이 식단으로 제시된 떡갈비와 치킨, 밥 등을 받지 못하거나 아주 적은 양만 받는 등 배식과 발주에서 문제가 있었다. 지난 2012년에는 일부 학급이 아예 배식을 받지 못하고 5교시 이후 라면을 먹은 사례도 있었다고 진상조사위는 밝혔다.
튀김음식을 주 1회 이상 금지한 대전교육청의 ‘학교급식기본방향’을 올 상반기만 6차례 위반했고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을 납품하는 경우가 많았다. 납품 계약 시점과 결제 시점이 달랐고 잡곡 등은 납품서와 검수서에는 매일 입고되는 것으로 돼 있으나 학부모들의 급식 모니터링에서는 1주일 1회 입금으로 확인됐다.
이건희 위원장은 “학교급식 개선을 위해서는 식재료 품질 기준 강화와 영양교사, 조리종사자 간 갈등 완화 대책 등이 필요하다”며 “시교육청이 학부모·사회단체의 의견을 들어 학교급식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급식 파문 대전 봉산초교, 입찰·관리 총체적 부실 확인
입력 2016-07-25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