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충실 이행… 北 도발 공동 대응”

입력 2016-07-26 04:00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25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한국과 일본이 ‘12·28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를 원활히 이행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공동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다만 일본 정부가 10억엔을 내놓는 시기와 위안부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라오스 비엔티안을 방문 중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25일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양국 외교수장이 만난 건 지난해 말 위안부 합의 이후 7개월 만이다.

두 장관은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등 한·일 관계 전반, 북한의 핵 개발 등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의견교환을 나눴다. 기시다 외무상은 위안부 합의를 이행해 한·일 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북한의 도발에 대한 한·일의 긴밀한 공조를 평가했다.

윤 장관 또한 지난해 말 이후 양국 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런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선 위안부 합의 이행이 중요하다고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윤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은 합의의 충실한 이행에 협력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인 재단 설립 문제와 관련, 윤 장관은 지금까지의 재단 설립 동향을 설명했다. 한·일 양측은 재단을 조속하고도 원활히 출범시키기 위해 국장급 협의 등 긴밀히 협력하기로 뜻을 같이했다. 다만 일본 정부의 10억엔 출연 문제와 관련해선 논의되지 않았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했다.

한·중·일 3국 협력과 관련, 윤 장관은 우리 정부 주도로 3국 협력을 복원한 계기로 협력을 원활히 추진하자고 언급했다. 기시다 외무상은 한국 측의 협력에 사의를 표하며 현재 조율 중인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윤 장관의 일본 방문을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아세안 회의의 최대 의제인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 양측은 서로의 기본 입장을 간단히 교환했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했다.

윤 장관은 이어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와 한·미 외교장관회담을 잇달아 가졌다. 이용호 북한 외무상은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을 필두로 인도 말레이시아 미얀마 등과 양자회담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비엔티안=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