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있는 중국 랴오닝성 단둥에서 올가을 개최할 예정이던 북·중 박람회(중·조 경제무역문화관광박람회)가 돌연 취소됐다고 21일 일본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국제사회의 경제제재 속에서 중국과의 경제 교류를 통해 외화 획득을 추진하던 북한 김정은 체제에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사히신문은 박람회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이 박람회 취소를 이미 북한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박람회장으로 사용됐던 단둥시내 전시장 관계자도 “올해는 박람회를 개최하지 않는다”고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단둥시와 중국 경제단체의 공동 주최로 2012년 이후 매년 열린 북·중 박람회는 중국에서 열린 북한 관련 경제 박람회로는 최대 규모다. 2014년 북·중 박람회에는 북한 기업 100곳 이상이 참여해 상품을 전시·판매하고 상담회 등 각종 행사를 열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박람회 기간에만 투자와 무역에서 총 13억6000만 달러(약 1조5520억원)에 이르는 계약이 성사됐다.
단둥시는 지난 1월 발표한 업무계획에서 올해 북·중 박람회 개최 일정을 잡아놓았었다. 지난 3월부터 유례없이 강력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270호)가 시작된 이후에도 단둥을 비롯한 중국 동북부 지방정부는 대북 경협 사업을 계속 추진했다.
특히 지난달 초 이수용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방중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진 뒤 김정은 체제 이후 최근 몇 년 새 냉랭했던 북·중 관계가 훈풍을 맞았다는 평가도 나왔다. 지난달부터 단둥에서는 북한산 물건을 취급하는 면세시장과 비자면제 당일치기 북한관광도 재개됐다. 특히 지난달 한·중 국제 박람회가 개막 1주일을 앞두고 돌연 연기되며 추가 일정도 잡지 못한 것과 달리 북·중 박람회는 당시까지도 예정대로 10월 15∼18일 치러진다는 데 하등의 의심도 없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북·중 박람회가 돌연 취소된 것은 전례 없이 강력한 대북제재의 여파로 무역량이 급감한 게 결정적인 이유인 것 같다고 아사히신문은 분석했다. 자금회수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대북 투자가 진척되지 않은 점도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힌다. 최근 중국이 한·미 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에 반발하면서 대북제재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지만 이번 박람회 취소는 대북제재의 기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中 ‘북·중 박람회’ 취소… 北 ‘돈줄’ 마른다
입력 2016-07-22 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