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후보가 6명이 넘으면 컷오프를 실시하기로 했다. 컷오프를 위한 여론조사는 다음달 2일 실시해 3일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는 2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김성태 의원(비례대표)이 밝혔다. 컷오프를 하는 기준은 당대표 후보 5명, 최고위원은 12명, 이번에 신설된 청년최고위원은 5명이다. 다만 컷오프로 중도 탈락하는 후보가 1명이면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당대표 후보가 6명이면 모두 경선에 올리고, 7명 이상이면 컷오프를 통해 5명만 남긴다는 얘기다. 컷오프에서 탈락한 후보에게는 기탁금(당대표 기준 1억원)의 절반을 돌려주기로 했다.
당초 컷오프를 도입키로 했던 이유는 후보가 난립해 20%대 지지율로 당대표가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더군다나 차기 당대표는 당무 통할권과 당직자 임면권을 갖는 등 현행 대표최고위원보다 권한이 많다. 선관위 회의에서도 이런 지적이 제기됐지만 당대표·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면서 컷오프까지 도입하는 사례가 처음이라 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을 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선관위원은 “후보가 5∼6명인 것을 난립이라고 볼 수 없고 출마한 사람에게는 최대한 기회를 줘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했다.
컷오프 방침은 후보 단일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당권 레이스에 뛰어든 이는 6명이다. 이 중 단일화 의지가 확고한 후보는 비박(비박근혜)계의 정병국 김용태 의원 두 명이다. 추가로 등록하는 후보가 없다면 이들 모두 본선을 치르게 된다. 단 출마를 고심하고 있는 친박(친박근혜)계 홍문종 의원과 비박의 홍문표 의원이 변수로 남아 있다. 컷오프 기준이 느슨해 선출 후 대표성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후보 단일화 컷오프를 위한 여론조사는 당대표의 경우 선거인단(70%)과 일반 국민(30%)을 대상으로 실시하되 휴대전화를 80%, 유선전화는 20% 반영하기로 했다. 최고위원과 청년최고위원은 선거인단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與, 당권후보 6명 넘으면 컷오프 실시
입력 2016-07-21 17:35 수정 2016-07-21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