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부에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대표 경선에 나선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 후보들은 21일 일제히 우 수석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정수석 본연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결백을 입증한다 해도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이유를 들어 문제를 푸는 첫 수순으로 자진 사퇴를 제안한 것이다.
정병국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통령을 모시는 사람의 입장에서 이런저런 구설에 오른다는 것 자체가 대통령께 엄청난 부담이 된다”며 “억울한 점이 있어도 일단 이런 문제 제기가 되면 시시비비를 가리기 이전에 스스로 해임을 해야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날 전대 불출마 입장을 밝힌 나경원 의원도 “(우 수석) 본인은 억울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 또 억울해 보이는 부분도 있다”면서도 “대통령께도 그렇고 본인도 그렇고 우 수석이 거취를 정해주면 정권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공천개입 녹취록 파문’ 등 각종 악재에 시달리는 친박(친박근혜)계도 우 수석 스스로 결단을 내리기를 바라는 눈치다. 한 친박 중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명예롭게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서라도 사퇴한 뒤 대응하는 게 옳은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범친박계 당권 주자로 분류되는 이주영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사실관계가 어디까지인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지만 “책임질 일이 있을 때는 솔직하게 다 털어놓고 책임지는 자세, 그게 참된 공직자의 바른 자세”라며 우회적으로 우 수석의 결단을 종용했다.
진경준 검사장 구속에 이은 우 수석 관련 의혹을 계기로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도입 필요성 주장도 여권에서 확산되고 있다. 비박계 당권주자인 김용태 의원은 검찰 비리 등과 관련해 사법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한 특단의 대책으로 공수처 신설을 촉구했다. 그는 “검찰 권력을 견제하고 공직사회 부패를 척결하려면 반드시 신설해야 한다”면서 “여야 지도부가 결단하면 못할 것이 없다. 더 시간 끌지 말고 이번 정기국회에서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선의 김성태 의원도 이날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공수처 도입과 관련한 질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할 때만 나오는 문제가 아니라 국회 차원에서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답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禹 사퇴 목소리 큰 여권, 친박계도 바라는 눈치
입력 2016-07-21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