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땅 김정주에게 부탁한 적 없다”

입력 2016-07-21 00:29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이 지난달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해 박근혜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우 수석은 20일 청와대 춘추관을 찾아 각종 의혹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이 20일 오전 예고 없이 청와대 춘추관 기자실로 찾아와 자신을 둘러싼 여러 의혹을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그가 언론 접촉을 위해 춘추관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아들 의혹까지 제기되자 직접 해명에 나선 것이다. 눈이 충혈된 모습으로 자리에 앉은 그는 한 시간여 동안 모든 의혹을 거듭 부인했다. 이 과정에서 “가정사, 심지어 아들 문제까지 거론되는 것을 보고 매우 고통스럽다”고 했고 “모른다는 말밖에 할 수 없어 답답하다” “모멸감을 느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우 수석은 반박 도중 앞에 놓여 있던 신문으로 책상을 치기도 했다.

-1300억원대 처가 땅 매매과정에 진경준 검사장 개입 여부에 대해.

“김정주 회장에게 사달라거나 한 적이 없다. 진경준 통했든 말았든 간에 아예 그런 사실이 없다. 핵심은 제가 그 땅을 사달라고 했느냐 안 했느냐다. 절대로 진경준을 통해 김정주에게 부탁한 적이 없다.”

-정운호 전 네이처리퍼블릭 대표 ‘몰래 변론’ 의혹은.

“정운호나 법조브로커 이민희도 모른다. 사람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데, 사건 수임은 말이 안 된다. 다 모르는 사람을 가지고 자꾸 나한테 의혹을 제기하나. 답답하지만 난 모른다는 말밖에 할 수 없다.”

-변호사 시절 선임계 쓰지 않고 사건 수임했다는 의혹은.

“확실히 말씀드리는데 모든 사건에 선임계를 냈고, 다 신고했다. 어떤 신문은 저한테 문자를 보내 ‘기사는 다 써놓았다. 억울하면 우리 신문에 선임계 제출해라’고 했다. 기사를 다 썼으니 빼고 싶으면 서류를 제출하라는 것인데, 모멸감을 느꼈다. 끝까지 답을 안 했다. 그리고 전화변론 같은 것 하지 않고 다 찾아가서 설명하고 의견서, 자료 냈다.”

-강남땅이 잘 팔리지 않고, 상속세를 내지 못해 고통을 겪었다는데.

“상속세가 1000억원이 넘게 나왔는데 현금으로 1000억원을 가진 사람이 어디 있나. 몇 백억원을 내고 나머지를 못 내서 이 땅을 팔아 세금을 내겠다고 한 것이다. 분납하는 대신 국세청에 담보를 제공했다. 그 땅은 강남역 옆이고, 심플하게 살 수 있어 대기업 문의도 있었다. 기사를 보면 400명이 땅을 보러 왔다는 거 아닌가. 부동산 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사고 싶어 했다. 거래 성사시키면 10억원을 버니까.”

-다운계약서를 작성해 세금을 적게 낸 것 아니냐는 의혹도.

“1300억원이 넘는 거래를 두고 금액을 줄였다는 게 가능한가. 국세청이 이 큰 거래를 가지고 세금을 받는데…. 성실히 세금을 내려고 땅을 팔았는데, 세금 줄이려고 다운계약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의경 복무 중인 아들이 보직변경 혜택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선.

“유학 간 아들이 들어와서 군대에 가라고 해 간 것이다. 병역의무를 이행 중인데, 병역을 기피했나. 아들의 상사라는 사람을 만난 적도 전화를 한 적도 없다. 아버지로, 가장으로 가슴 아픈 부분이다.”

-진경준 검사장 비위의혹과 검증 부실 논란도 있다.

“당시 비위 의혹을 보고받은 적이 없다. 누군가 알았다면 왜 감찰을 안 했을까. (청와대 인사검증 절차에는) 차명재산, 차명계좌를 들여다볼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검찰 인사전횡 및 ‘우병우 사단’ 지적에는.

“업무 범위 내에서 검증할 것은 하고 있다. ‘우병우 사단’이라는 얘기는 참….”

-검찰 수사가 시작되면 출석할 용의는 있나.

“오라고 하면 간다. 부르면 가야지만 (가서 답변할 것은) ‘모른다. 아니다’밖에 없다.”

-구속된 홍만표 변호사와 공동변론 8건을 했다는 보도에는.

“오늘 신문에 나온 (양돈업체 변론) 딱 1건 했다. 8건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내놓으라고 해라. (증거가) 있으면 제시하라고 해라.”

-정무적 책임에 대해선.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 하지 않은 의혹 제기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것은 맞지 않다. 이런 문제를 가지고 공직자를 그만 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아침에 자료 쓰고 저녁에 고소하는 건 이제 안 하겠다. 법적 조치도 나중에 순차적으로 모아서 할 것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