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트럼프 美 대선후보 확정… 보호무역주의 대비해야

입력 2016-07-20 18:35
미국 공화당 전당대회 이틀째인 19일(현지시간)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가 제45대 미국 대통령에 도전하는 공화당 후보로 공식 선출됐다. 트럼프의 선출은 보호무역주의가 세계 최강대국 미국에서 얼마나 큰 파워를 갖게 됐는가를 보여주는 한 상징이다. 트럼프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내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 자유무역협정의 재검토 내지 폐지, 불공정 무역 국가에 대한 무역 보복을 공언했다. 그는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대규모로 빼앗아가는 국가로 멕시코, 중국, 일본, 한국 등을 지목했다. 공화당은 전당대회 첫날인 18일 ‘미국과 친밀한 민주국가들과의 무역협정이 미국의 이해관계와 주권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면 그것은 반드시 거부돼야 한다’는 정강을 채택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주장이 짙게 반영된 것이다.

문제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사실상 확정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도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는 점이다. 민주당 정강의 초안에도 기존 무역협정에 대한 재검토와 환율조작국을 응징하는 구절이 포함됐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지난 7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후보가 주창하는 자유무역 제한 조치는 세계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LG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년간 세계 각국 정부의 보호무역 조치는 20%가량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가 넘는 등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인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이어 미국 등 선진국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한다면 경제 성장의 근간이 허물어질 수도 있다. 워싱턴 조야의 움직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논란이 될 수 있는 불공정 무역 관행은 스스로 시정하는 등 선제적 경제외교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