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진경준 검사장 승진 시 청와대 검증 실무팀에서 문제를 제기했지만 묵살됐다고 주장했다. 야권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를 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과 연계시키며 거듭 사퇴를 촉구했다.
박근혜정부에서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지냈던 조 의원은 20일 CBS라디오에서 “검증실무팀에서 진 검사장에게 문제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런데 막상 (승진) 인사 발표가 나오자 놀랐다는 얘기를 최근에 들었다”고 밝혔다. 윗선의 지시 여부에 대해선 “(민정수석실) 실무자 위에는 비서관, 수석, 비서실장이 있다”며 “어떤 분이 어떻게 하셨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이게 사실이라면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른바 ‘우병우 사단’ 존재 여부를 두고는 “예를 들어 최윤수 국가정보원 2차장의 경우 공안 업무를 전혀 하지 않았는데 국정원 차장으로 갔다. (우 수석과) 친한 사이”라며 “(우 수석이) 검찰, 국정원 등 권력기관 인사에 관여하면서 우 수석과 친한 사람들이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는 소문이 관가에 파다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정수석이 억울하다고 계속 고소를 하면 수사기관이 제대로 수사할 수 있겠느냐”며 “제가 아는 한 청와대 재직 중 고소·고발될 경우 억울하더라도 직을 내려놓고 조사에 임하는 게 관행”이라고 말했다.
오전 국회에서 열린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는 검찰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더 이상 자리에 연연해 대통령 치마폭에 숨어 있을 문제가 아니다”라며 “우 수석은 즉각 사퇴하고 수사에 응해야 한다. 민정수석을 보호하려다 정권까지 흔들릴 수 있음을 경고한다”고 했다.
이종걸 의원은 “우 수석이 누린 권력 남용이 드러나고 있다. 숨어 있는 인사 실패도 간과할 수 없다”고 했고, 이춘석 의원도 “민정수석은 사정기관 최고 사령탑이다. 아무리 간이 큰 검사라도 수사할 수 없다. 대통령이 결단할 때”라고 비판했다.
국민의당은 우 수석을 ‘권력 금수저’로 표현하며 거취 결정을 압박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우 수석은 대통령을 잘못 보필한 책임만 물어도 이미 해임됐어야 한다”며 “박 대통령이 ‘권력 금수저’인 ‘우병우 뇌관’을 시급하게 정리하고 개각해야 레임덕 폭탄을 정리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미 더민주와 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신설 등에 합의했다. 추후 국회서 강도 높은 검찰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더민주·국민의당·정의당은 일주일 안에 검찰 개혁 관련 법안을 공동 발의할 계획이다. 더민주 민주주의회복 태스크포스(TF) 박범계 의원은 “21일 오후 우 원내대표, 변재일 정책위의장과 함께 검찰 개혁 관련 법안 요지를 발표할 것”이라며 “각 당이 상호 방안을 대조해 법안을 공동발의하겠다”고 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진경준 승진 때 靑실무팀서 문제 제기했지만 묵살됐다”
입력 2016-07-21 0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