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감귤시설 현대화사업 자부담 비중 높아 지지부진

입력 2016-07-19 18:32
제주 감귤의 고품질화를 위해 추진되는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제주도는 현행 재래방식인 선과기 드럼 규격 위주의 선별에서 당·산도 기준의 광센서 선과기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산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도는 매년 60억원을 투입해 도내 영농조합법인 등 생산자단체를 대상으로 광센서 선과기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1곳 당 설비비용 15억원 중 자부담이 6억원(40%)에 이르는데다 융자도 지원되지 않으면서 사업실적은 극히 저조한 상태다.

도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7년간 총 사업비 420억원(국비 126억원·지방비 126억원·자부담 168억원)을 투입, 매년 4곳씩 모두 28곳에 광센서 선과기를 설치·지원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설치 완료된 곳은 16곳에 그치고 있다.

도는 올해에도 광센서 선과기 설치를 원하는 농가가 단 1곳에 그치고 있어 참여 저조에 따른 비상품 감귤의 당도 기준 출하계획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농민 김모(52)씨는 “광센서 선과기 도입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자부담이 높아 현실적으로 설치부담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국비 확충과 융자 지원 등 자부담을 낮추기 위한 절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