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공천 때 탈당했다 지난달 복당한 새누리당 주호영 의원이 18일 당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했다. 김용태 이주영 이정현 정병국 한선교(출마 선언 순) 의원에 이은 여섯 번째 출사표다. 당권 구도를 좌우할 서청원 의원은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출마가 어려운 쪽으로 상황이 흘러가고 있다.
주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공천파동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제가 앞장서서 반성과 화해의 전당대회를 제의한다”고 했다. 주 의원은 공천 때 지역구인 대구 수성을이 여성우선추천지역으로 결정되자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됐다. 그는 이어 “이번 전당대회에서조차 친박(친박근혜)이 무리하게 후보를 옹립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비박(비박근혜)이 단일화된 후보를 내 이전투구를 계속 한다면 새누리당은 분당에 가까운 분열과 증오가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서 의원을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세상이 급변하는 중차대한 시기에 십수년 전 이미 당대표를 지낸 분이 또다시 새누리당의 얼굴이 된다면 새누리당은 변화를 거부하는 꼴통 기득권 세력으로 비치지 않겠느냐”고도 했다. 주 의원은 공천 시스템 개혁과 당 역량 강화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관심은 비박 당권 주자들과의 단일화에 쏠리고 있다. 주 의원은 출마 결심 전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을 만났고 두 사람 모두 자신을 적극 응원했다고 밝혔다. 정병국 김용태 의원과도 물밑에서 후보 단일화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 의원은 이명박정부 때 특임장관을 지내고, 박근혜정부에선 김재원 윤상현 의원과 함께 대통령 정무특보로 임명되는 등 정권마다 요직을 맡았다.
서 의원은 이날도 출마 여부를 밝히지 않았다. 예상보다 고민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결국 불출마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윤상현 의원이 지난 총선 때 한 예비후보자에게 전화를 걸어 “대통령 뜻” 운운하며 지역구를 옮기라고 종용한 녹취 파일이 공개된 것도 서 의원에겐 적잖은 부담이다. 안 그래도 전날 공개된 총선 백서에 대해 ‘맹탕 백서’라는 비판이 들끓고 있는데, 친박의 상징과도 같은 윤 의원의 공천 개입 의혹이 불거지면서 친박 2선 후퇴론이 다시 부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반(反)서청원’ 분위기도 점점 거세지고 있다. 이날 예정됐던 서 의원 지지 모임인 청산회 만찬은 결국 취소됐다.
정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총선 참패의 요인이 된 막말파동, 진박논쟁은 백서에 전혀 언급이 없다”며 “당대표가 되면 진정한 혁신을 위한 백서를 새로 만들겠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주호영, 여섯 명째 출사표… ‘反서청원’ 분위기 확산
입력 2016-07-19 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