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의 지분 매각이 해외 투자자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지분 매각이 성공하면 이광구(사진)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달 초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어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의 매각 방안을 결정, 공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 일괄 매각이 어렵다고 보고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1% 중 30%를 우선 매각하는 방식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우리은행에 대한 잠재수요 파악과 함께 세부 매각방안을 실무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일정과 매각 방안 등은 공자위 논의 등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우리은행과 당국이 접촉해온 중동과 유럽, 미국의 투자자들과 과거 공개입찰에 참여한 중국 안방보험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내외에서 지분 매입 의향을 확인하고 있지만 해외 투자자들이 더 긍정적”이라며 “국내에선 은산분리 법규와 경영권이 없는 지분 매각이란 점에서 덜 매력적으로 보는 것 같다”고 전했다.
안방보험은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분할 최대치인 10%까지 지분 매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지난달 안방보험이 우리은행 주식 10%를 매입하겠다는 의사를 금융위원회에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단숨에 2대 주주로 올라설 수 있는 규모다. 지난달 9300원대까지 떨어졌던 우리은행 주가는 지분 매각과 실적 호전 소식에 1만원을 넘어 지분의 10%인 6760만주를 인수하려면 시장가격으로도 7000억원 이상이 필요하다. 예보가 우리은행 지분 30%를 매각하는 데 성공한다면 2조1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셈이다.
우리은행 인수가 탄력을 받으면서 이광구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이 행장은 지난해 초 취임하면서 올해까지 민영화를 성공시키겠다며 3년 임기를 스스로 2년으로 단축했다. 우리은행 측은 민영화와 이 행장의 연임을 연관시키는 것을 꺼려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업무의 연속성 차원에서 연임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많다. 금융권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도 민영화를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온 은행장이 갑자기 바뀌면 불확실성이 커져 싫어할 수 있다”며 “실적도 좋고 건전성도 개선돼 연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여전히 예보가 21% 지분을 가진 최대 주주로 있으면서 실질적인 경영권을 정부가 행사하는 점이 부담이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예보 지분이 30% 아래로 내려가면 우리은행은 민간기관으로 분류돼 감사원의 감사도 받지 않게 된다. 예보는 민영화 취지에 맞춰 우리은행과 새로운 경영정상화 이행각서를 작성한다는 계획이다. 우리은행 매각 논의에 참여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분할 매각에 참여하는 주주에게는 사외이사 추천권을 보장해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매각을 성사시키기 위해 다양한 이야기가 오가는 중”이라고 전했다.
김지방 우성규 기자 fattykim@kmib.co.kr
中 안방보험, 우리銀 지분 매입 참여할 듯
입력 2016-07-19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