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한 정쟁 확산 차단에 부심했다. 특히 황교안 국무총리의 경북 성주 방문 당시 발생한 폭력사태에 ‘외부 시위꾼’이 개입했을 가능성을 부각하며 철저한 수사를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사드 배치 과정에서 정부의 미흡한 소통 등을 지적하면서도 배치 자체의 찬반 여부에 대해서는 신경전을 계속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18일 혁신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황 총리 성주 방문 과정에서 외부세력 개입으로 폭력행위가 있었다고 하는데 매우 안타깝다”며 “소위 직업적인 전문 시위꾼의 폭력행위는 엄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4대강, 제주해군기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국책사업 현장마다 직업적으로 다니며 폭력을 일삼는 이들의 행태를 더 이상 묵과해선 안 된다”며 “주도세력에 대한 엄정 수사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김영우 비대위원도 “사드 긴급현안 질문은 ‘정쟁의 장’이 아닌 ‘정책의 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외 지원도 이어졌다. 이장우 의원은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사드 논의 과정에) 외부 세력이 개입해서 선동하고 본질적 이슈를 왜곡한다면 큰 문제”라며 “운동권이나 좌파 세력이 가담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고 주장했다. 김진태 의원은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김현웅 법무부 장관에게 “성주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느냐”고 따졌고, 김 장관은 “폭력 사태에 대해 엄정 수사하겠다”고 답했다.
더민주는 정부의 대응에 대해 공세모드로 전환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대통령도 부재중인데 총리와 국방부 장관이 다같이 내려가서 갇혀버렸다. 비상상황이 생기면 어쩔 뻔했느냐”며 “(그런 방식으로) 민심 수습이 가능하리라 생각을 했는지 의아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의 성주사태 수사방침에 대해서도 “공안몰이를 하려는 인상을 주는 것을 자제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상호 원내대표도 “정부가 군민들을 수사해 발본색원을 하겠다고 공안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반면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더민주가 사드 배치에 대해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며 침묵하고 있다”며 “국회비준동의안 제출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햇볕정책을 계승하겠다는 공당이 이런 태도를 보이는 건 아무 도움이 안 된다”며 “안보를 집권 전략으로 이용하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웅빈 최승욱 기자 imung@kmib.co.kr
與, 정쟁 차단 고심… 野, 정부 소통미흡 부각
입력 2016-07-19 0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