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의 군부 쿠데타가 실패했지만 미국과 유럽은 여전히 불안하다. 미국은 터키의 정정불안으로 이슬람국가(IS) 격퇴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한다. 유럽은 터키가 ‘테러 방파제’로서의 역할을 잃거나 시리아 난민 억제 약속을 지키지 못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미국은 당장 터키의 인지를릭 공군기지 운영이 마비돼 IS 공습을 중단했다. 쿠데타 시도 과정에서 전력공급이 중단됐고 기지 상공이 폐쇄됐기 때문이다.
미 국방부는 16일(현지시간) “터키의 인지를릭 미 공군기지는 내부동력으로 가동되고 있다”며 “현재 터키 정부와 작전을 재개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이번 쿠데타 시도의 파장을 가늠하기 위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사태 수습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리처드 하스 미 외교협회장은 뉴욕타임스(NYT)에 “터키의 쿠데타 실패는 ‘비민주적 쿠데타를 지지할 것인가, 점점 비민주적으로 변해가는 지도자(에르도안 대통령)를 지지할 것인가’ 하는 선택의 딜레마를 안겨줬다”고 말했다. 에릭 에델만 전 터키 주재 미국대사는 “터키의 정정불안이 통제 불능의 혼란과 전면적인 내전으로 이어질 위험을 안고 있다”고 경고했다.
중동전문 뉴스매체 ‘알모니터’의 터키 전문가 켄기즈 캔더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군부와 뒷거래를 하면서 쿠데타 진압에 성공했지만 군부는 정서적으로나 이념적으로나 에르도안 대통령의 친구가 아니다”고 진단했다.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쿠데타가 진압됐다는 소식에 일단 가슴을 쓸어내렸다. 유럽은 터키가 시리아 난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유럽으로 향하는 난민행렬을 억제하겠다는 에르도안 대통령의 약속에 60억 달러를 지원했다. 혹시 에르도안 대통령이 실각하거나 정정불안이 길어지는 틈을 타 난민행렬이 재개될까 하는 우려가 깊다. 영국이 난민유입을 EU 탈퇴 이유로 든 만큼 통제되지 않는 난민행렬이 다시 유럽으로 이어질 경우 제2, 제3의 브렉시트를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에르도안 대통령이 통치하는 터키는 지금까지 중동과 유럽의 완충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럽으로 향하는 난민의 ‘버퍼’일 뿐 아니라 프랑스 니스 테러를 자행한 IS와 직접 맞선 최전선인 것이다. 그러나 쿠데타 세력을 뿌리 뽑으면서 터키가 중동 이슬람 원리주의 국가들과 더욱 가까워질 경우 EU 국가들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민주주의를 무시한 권위적 통치는 언제든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IS 격퇴 차질? 난민행렬 봇물? 흔들리는 터키 美·유럽도 ‘걱정’
입력 2016-07-18 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