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조가 지난 15일 밤 찬반투표를 통해 파업을 가결했다. 전체 조합원 1만5326명 중 1만163명이 13일부터 3일 동안 투표해 90.4%가 찬성(재적 조합원 대비 59.9%)했다. 내일 일부 사업본부 조합원의 부분 파업을 시작으로 20일과 21일에는 전 조합원이 각각 4시간, 7시간 파업을 하기로 했다. 특히 20일에는 민주노총의 총파업대회에서 현대자동차 노조와 연대파업을 할 계획이다. 두 노조의 연대파업은 1993년 현대그룹 계열사 노조가 모였던 현대그룹노조총연맹의 투쟁 이후 23년 만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겉으로는 임단협 결렬에 따른 쟁의권 행사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인력 감축을 최소화하는 등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조의 주장을 최대한 반영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지난 5월 초 사무직 과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한 데 이어 같은 달 중순부터 생산직으로 범위를 확대해 인력을 줄이고 있다. 사무직 1500명과 생산직 500명이 희망퇴직을 통해 지난달 말 회사를 떠났다.
근로자들이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법률상 권리다. 실직의 공포가 현실화되는 등 절박하게 내몰리는 현대중공업 근로자들의 처지를 감안하면 파업권 행사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굳이 파업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 회사가 처한 현실을 엄중히 직시해야 한다. 극심한 수주 가뭄 등의 현 상태가 지속되면 회사 존립도 장담할 수 없을 정도다. 정부가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할 만큼 조선업은 생사기로에 놓여 있다. 이 지경인데도 덜커덕 파업을 하겠다는 것은 명분과 실리 모든 면에서 얻을 게 없다.
현대차와의 동시파업은 더더욱 이해할 수 없다. 같은 계열이나 업종도 아니고 노사 협상의 쟁점도 확연히 다르다. ‘파업을 위한 파업’이라는 이유 말고는 달리 설명할 까닭이 없지 않나.
어려움이 닥치면 노사는 고통을 나누며 극복해야 한다. 회사는 감원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근로자는 어느 정도 아픔을 감수해야 한다. 회사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여 있는 데도 파업을 단행하겠다는 것은 쪽박을 깨트리자는 것과 마찬가지다.
[사설] 현대중공업 파업 명분 약하고 실리도 없다
입력 2016-07-17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