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의 직접 설명을 요구하며 ‘출구전략’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국민의당은 정부·여당은 물론 제1야당을 연일 압박하며 ‘적통 경쟁’을 주도했다.
당 안팎에서 사드 관련 당론 결정 압박을 받아온 더민주는 14일 책임을 정부에 돌리며 강공을 펼쳤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사드 배치의 진정한 목적인지, 왜 수도권 방어가 안 되는 지역을 선정했는지 등을 박 대통령이 직접 국민에게 설명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에서 한·중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는다면 ‘빈손외교’가 될 것이라 경고한다”며 압박했다.
우 원내대표는 원내에 ‘사드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자신이 직접 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대책위는 사드의 군사적 실효성과 사드 배치에 따른 경제적 피해 및 주변국과의 갈등 관리, 국론 분열 문제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당내 강·온파 의원들을 대책위원으로 선임해 찬·반으로 양분된 당 상황에 대한 교통정리를 시도할 예정이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미온적 태도’에 대한 비판은 계속됐다. 더민주 안민석 의원은 TBS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날 ‘방법이 없다’고 말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발언과 관련해 “제 귀를 의심했다. 제1야당 지도자로서 할 말씀이 아니다”며 날을 세웠다.
국민의당은 당론 결정 문제로 균열이 발생한 더민주의 ‘틈’을 더욱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야당의 선명성을 강조해 야권 지지층을 공략하는 동시에 한동안 당의 발목을 잡았던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더민주도 사드 배치를 이념이나 집권 전략의 문제가 아닌 국익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며 “정부가 사드 배치를 강행하는 빌미를 제공하지 않도록 함께 나서자”고 촉구했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김종인 대표의 뿌리는 새누리당이기 때문에 제가 뭐라 할 순 없지만 많은 더민주 의원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며 “김 대표(의 입장)도 의원들 요구에 곧 수정될 것이고, 그 길이 더민주를 위해 필요하다”고 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당 정책위원회 주최 토론회에서 박 대통령에게 각 당의 대표, 사드 배치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직접 만나 설명할 것과 국회 비준동의안 제출을 요구했다.
야권 잠룡들의 입장 표명도 이어지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사드 배치는 안보환경은 물론 우리 경제의 명운이 걸린 중대한 문제인데 비밀리에 일방적으로 결정된 것은 큰 문제가 있다”며 “사드 배치 문제를 마치 한 국가를 선택하는 문제인 것처럼 끌고 온 것도 큰 실책”이라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은 의회의 비준동의권을 폭넓게 해석해 의회 지도자들과 충분한 상의를 하기 바란다”고 했다.
최승욱 김재중 기자 applesu@kmib.co.kr
더민주 ‘사드 갈등’ 정부 압박하며 출구찾기… 2野 ‘사드 전략’
입력 2016-07-15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