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경정예산을 10조원가량 쏟아부어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보다 0.1% 포인트 낮은 2.7%로 내려갈 것으로 한국은행이 전망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역시 1.2%에서 1.1%로 하향 조정했다. 기준금리는 한 달 전 역대 최저 수준인 연 1.25%로 내린 점이 감안돼 7월엔 동결을 결정했다. 저성장·저물가·저금리의 신3저 시대가 장기화되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간담회에서 “국내외 여건 변화를 고려해본 결과 경제성장률은 2.7%,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1%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하향 조정한 이유로 글로벌 교역량 위축에 따른 수출 부진, 조선·해운업 중심의 구조조정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의미하는 브렉시트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 등을 거론했다.
정부가 하반기 10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 중이고 한은도 이미 지난달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1.25%로 내렸지만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엔 0.2% 포인트 상승 효과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월에는 3.0%로 내놨는데 4월 2.8%로 낮췄다가 다시 이날 2.7%로 하향 조정했다. 3개월마다 수치를 깎아내리고 있는 것이다. 한은 예측대로라면 우리 경제는 2014년(3.3%)을 빼고는 2012년부터 5년 가까이 3%대 성장에 실패하게 된다. 한은이 예측한 2017년 성장률도 2.9%에 그쳤다.
9월부터 시행되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 역시 민간 소비에 영향을 줘 성장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이 총재는 “경제 전망을 다시 하며 김영란법 시행 영향을 감안했다”면서 “정착 과정에서 일부 업황과 민간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물가안정 목표 운영을 설명하기 위한 간담회도 함께 열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경제 암운’ 성장률·물가상승률 또 낮췄다
입력 2016-07-15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