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평 맞춰라”… 광주·수원도 軍 공항 이전 목청

입력 2016-07-15 00:20
“우리도 이전을 해 달라.”

정부가 대구국제공항·K2(공군기지) 통합 이전에 나서자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수원시도 군 공항을 서둘러 옮겨달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013년 국회를 통과한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이전건의서 평가 등 법적 절차를 제대로 지켜달라는 것이다.

광주시는 “내년 예산확보를 위해 국회를 방문한 윤장현 시장이 국방위 소속 김동철 의원 등과 만나 숙원사업인 광주 군 공항의 이전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고 14일 밝혔다.

윤 시장은 이날 황인무 국방부 차관에게 전화를 걸어 “최소한 대구와 동일선상에서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를 형평성에 맞춰 추진해 달라”는 의사를 전달했다.

하지만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 유치에 실패한 대구의 공항 이전에만 속도를 낼 경우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시는 2022년까지 광주 군 공항이 시 외곽으로 이전하면 그 자리에 2025년까지 가칭 ‘솔마루 신도시’를 조성할 방침이다.

수원시와 군 공항 이전 수원시민협의회도 신속한 군 공항 이전을 촉구하고 나섰다. 수원시민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국방부가 지난해 6월 수원 군공항 이전 타당성 승인 이후 1년이 넘도록 뚜렷한 이유 없이 예비 이전 후보지를 발표하지 않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보다 1년 이상 빠른 수원의 예비 이전 후보지 발표를 늦추는 것은 지역 차별”이라며 “국방부는 수원, 광주, 대구시에 동일한 잣대와 원칙을 적용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수원시도 13일 국방부에 수원 군 공항 예비 이전후보지 발표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시는 “지난 7월 11일 박근혜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대구 군공항 통합 이전 사업이 초스피드로 진행되는 불공정한 현실”이라며 “도대체 어떤 법적 근거와 필요성에 기초한 결정인지 수긍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수원 군 공항은 1954년 당시 도심 외곽 지역인 수원시 권선구 장지동 일대 6.3㎢에 들어섰다. 하지만 급속한 도심 팽창으로 소음피해 등에 시달려온 인근 주민들은 그동안 줄기차게 이전을 요구해왔다.

반면 대구·경북은 발 빠르게 조직을 개편·신설하며 공항이전에 대비하고 있다. 정부가 관련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1∼2달 안에 입지 선정 등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데 따른 것이다. 대구시는 기존 ‘K2이전추진단’과 ‘신공항추진단’을 통합하기로 했다. 경북도 역시 공항이전에 대비한 태스크포스를 만들 방침이다. 경북도는 공항 통합이전 발표 후 군위, 의성, 예천 등이 유치 의사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영천과 칠곡도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광주·수원·대구=장선욱 강희청 최일영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