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지도부가 연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결정에 대한 민심 추스르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지역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대구·경북(TK) 지역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의원들까지 가세해 불만을 터뜨리자 당 안팎에선 “이들의 지역 우선주의가 더 문제”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1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혁신비상대책위 회의에서 “(경북) 성주 지역 주민들의 우려를 불식시켜드려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국무총리, 국방부 장관이 직접 성주로 내려가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무분별한 괴담은 국익과 국민 화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과거 광우병 괴담이 대한민국을 얼마나 혼란에 빠뜨렸는지를 기억해야 한다”고도 했다.
정 원내대표는 “정부·여당의 일원으로서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당부했으나 반발을 가라앉히진 못했다. 이완영(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이번 결정에 대해 “한마디로 아연실색이었다. 쉽게 말해서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지금까지 (후보지로) 거론됐던 곳이 미군 부대가 있는 지역이었다”며 “성주는 미군 부대도 없는데 갑자기 이렇게 나왔다는 것에 대해 도저히 납득하거나 수용할 수 없다”고 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제일 먼저 (사드) 레이더 앞에 서서 제 몸으로 직접 시험하겠다”고 한 데 대해선 “성주군민들은 ‘잠시 쏘이는 게 무슨 큰 문제가 되겠는가’ ‘계속 살면서 있을 때 피해가 있는 것 아닌가’라는 주장도 했다”고 했다.
그러나 전날 박근혜정부의 결정에 반발하며 지원책을 요구하는 회견문에 이름을 올린 최경환 조원진 정종섭 곽상도 의원 등을 비판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4·13총선에서 ‘진박(진실한 친박근혜) 마케팅’으로 논란이 됐던 이들이 되레 국론 분열에 앞장섰다는 것이다.
친박 주류가 “당 정체성을 달리하는 사람과 같이 갈 수 없다”고 지목했던 유승민 의원은 회견에 동참하지 않은 사실과 대비되면서 당내에선 “입으로만 친박”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선거 때만 친박?… TK 의원들 ‘사드 反朴’
입력 2016-07-14 18:27 수정 2016-07-14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