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총회장 박무용 목사)이 2003년부터 13년째 특혜와 비리 논란을 일으키며 눈덩이처럼 손실을 키워온 벽제중앙추모공원(납골당)을 27억원에 매각키로 했다. 예장합동은 13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총회본부에서 제3차 총회실행위원회를 열고 격론 끝에 이같이 결의했다.
안건 상정 직후 등단한 은급재단 소위원회 서기 유장춘 목사는 “현재 진행 중인 사안과 향후 발생 가능한 여러 법적 문제를 고려해 공동사업자인 최춘경씨에게 납골당을 완전 매각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설명했다.
이후 ‘동의’ ‘반대’ ‘유보’ 등의 주장이 뒤섞이며 격론이 벌어졌다. 논의가 평행선을 보이자 박무용 총회장은 “시간이 흐를수록 손해가 더 커진다는 것이 현재로서의 판단”이라며 “손을 들어 가부를 묻겠다”고 선언했다. 결국 ‘납골당 매각의 건’은 출석위원 90명 중 찬성 54명, 찬성위임 20명으로 74명의 찬성을 얻어 결의됐다.
은급재단 소위원회 위원장 김동한 목사는 “실행위 결의를 토대로 조속히 소위원회를 열어 매각 진행사항을 논의한 뒤 이사회에서 최종 매각을 결정할 계획”이라며 “오는 9월 총회 전까지 납골당 매각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납골당 문제는 지난 13년간 예장합동 총회 내에서 암 덩어리 같은 문제로 여겨져 왔다. 2003년 은급재단 전 이사장인 고 임태득 목사와 김장수 국장이 납골당 매입을 위해 은급기금을 이사회 결의 없이 불법 대출한 것을 시작으로 문제는 점점 커져갔다. 당시 은급재단 이사회는 교단 몰래 납골당 사업자인 ‘벽제 영산추모관’에 20억원을 대출해 주는 등 편법으로 기금을 증식하려다 적발돼 물의를 일으켰다.
2003년 87차 총회에서 안전장치 마련을 전제로 납골당 수익사업이 허락됐지만 60억여원이 재차 이사회 승인 없이 불법 전용됐다. 이후 사태 수습 명목으로 대출을 받기 시작했고 이 금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현재까지 은급재단이 납골당 문제와 관련, 최씨와 관련자에게 지급한 것으로 파악된 금액은 200여억여에 달한다. 이번 결의대로 매각을 해도 70억원 정도는 회수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소유권 이전’ ‘처분금지 가처분’ 등 납골당 관련 소송도 100여 건이 진행됐다. 회계법인의 평가를 무시하고 140억원에 사들인 납골당을 3개월 만에 90억원이라는 헐값에 매각하는 등 상식 밖의 일도 잇따랐다. 총회의 허술한 관리감독과 총회 임원의 독단적 운영에 대한 견제세력 부재가 낳은 참사인 셈이다.
이 과정에서 매년 총회를 통해 ‘납골당조사위원회’ ‘사법처리전권위원회’ ‘은급재단발전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조사를 진행해왔지만 거듭된 조사를 통해 내놓은 결론은 “총회의 정규 절차를 모두 거쳤고 정당한 집행이었다”는 원론적인 내용뿐이었다.
그 사이 총회 산하 목회자들의 은급재단에 대한 불신은 커져만 갔고 지금도 1300여명의 연금가입자들은 노후가 제대로 보장될지 불안해하고 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13년 끌어온 예장합동 납골당, 손해 보고 매각키로
입력 2016-07-13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