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암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뱃살만 유독 나오는 복부 비만처럼 부분 비만도 암 발생과 연관이 있을까. 물론 비만이 암을 발생시킨다는 것에 대해서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된 바는 없다. 다만 여러 연구에서 비만이 암 발생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꾸준히 제기돼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비만과의 연관성이 확실한 암으로 대장암, 직장암, 폐경 후 유방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식도 선암을 꼽는다. 또 세계암연구재단(WCRF)에서는 이들 암과 함께 췌장암도 비만과 연관성이 확실한 암으로 분류하고 있다.
성별로 나누면 남성의 경우 비만으로 인해 혈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아져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는 진행성 전립선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여성의 경우 비만으로 인해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아지고, 이는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 몇몇 다른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비만은 비알콜성지방간염의 위험요인이 되고 비알콜성지방간염은 간경화로 진행된 뒤 간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세계암연구재단에 따르면 비만인 경우 인슐린과 렙틴 수치가 상승돼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인슐린과 렙틴이 암 세포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지적한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은 복부 비만인 경우 증가하는데, 이때 췌장은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혈중으로 인슐린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고인슐린혈증은 대장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췌장암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윤이화 국립암센터 암예방사업과장은 “정상 체중이면서 복부 비만이 있는 경우의 암 연관성 관련 연구는 많지 않고 제한적”이라며 “그러나 몇몇 코호트 연구 결과 정상 체중이면서 복부 비만이 있는 마른 비만은 유방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 대장암과 연관성이 있고 암사망률 증가와도 연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여성의 경우 부분 비만은 유방암, 자궁내막암, 췌장암, 대장암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고, 남성은 전립선암, 대장암, 췌장암이 복부 비만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 과장은 “하지만 여성의 유방암과 부분 비만의 연관성에 대한 결과들은 폐경 전후 나이에 따라 연구마다 그 결과에 차이가 있고, 남성의 경우에도 비만과 대장암 및 췌장암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일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추가적인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부분 비만만 해결하면 다시 암 발생 확률이 줄어들게 될까? 윤이화 과장은 “암종에 따라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체중감량으로 인해 암이 예방된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며 “일부 연구에 따르면 폐경 후 여성들에서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윤 과장은 “부분 비만이라고 해서 신체의 일부분만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보다는 전반적으로 건강 체중을 유지하면서 올바른 식사요법과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시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예슬 기자 yes228@kukinews.com
[암과의 동행] 복부 비만 해결하면 암 위험 줄어들까
입력 2016-07-17 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