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회 운영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사드 배치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야당은 배치 결정을 국방부가 아닌 청와대와 미국이 주도했고 관련 부처는 소외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우리나라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의 나라, 김 실장의 1인 천하라는 느낌이 든다”며 “사드 배치는 외교·경제와도 관련된 문제인데 왜 안보실장만 얘기를 하느냐”고 몰아붙였다. 이어 “다른 참모들이 바지저고리가 돼서 김 실장의 입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송기헌 의원은 “정부는 군사적 필요 때문에 사드를 배치한다고 말했지만 그동안 ‘미국으로부터 요청이 오면 판단하겠다’고 한 청와대 발표를 보면 기본적 판단은 미국이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사드 배치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국민의당도 가세했다. 박지원 의원은 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이 사드 레이더 100m 밖은 안전하다는 주장을 반복하자 “그렇다면 150m 거리에 비서실장과 국방부 장관의 별장을 지어놓고 한 달씩 휴가 가라면 갈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사드 배치 결정을 반대했다는 언론 보도를 언급하면서 “윤 장관의 판단이 옳다. 그가 후일 역사에 남기기 위해 (배치 결정) 발표 당일 일부러 백화점에 가서 쇼핑한 게 아니냐”고 했다. 이 말에 이 실장과 김재원 청와대 정무수석 등이 웃음을 터뜨리자 박 위원장은 호통을 치며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새누리당은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을 내세워 정부 결정에 힘을 실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핵 문제가 해결되면 사드를 철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 장관은 예결특위 전체회의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기가 없어지면 사드도 철거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그런 상황이 된다면 논리적으로 충분히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과 관련해 “몇 가지 경우에 대비해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을 만들어놓고 있다. 보복성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野 “김관진 1인 천하… 다른 참모는 바지저고리냐”
입력 2016-07-13 18:11 수정 2016-07-13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