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지도부는 사드 엄호… TK의원들은 반발

입력 2016-07-13 18:10
새누리당 지도부가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결정을 엄호하고 나섰다. 국가안보와 국익을 위한 결정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며 정치권과 지역민들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는 데 힘을 쏟았다.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1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여야 정치권과 국민 모두의 깊이 있는 성찰과 협력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며 “지금은 국론을 하나로 모아야 할 때”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는 국민 생존과 국가 안위를 위해 필요하고도 불가피한 조치를 취했다”고 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사드 배치는 대한민국 국익과 국가안보를 위한 결단”이라며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고작 님비(NIMBY·지역 이기주의)로 대응할 수는 없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두 야당은 10년 집권 경험이 있는 수권 지향 정당”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지도부에 책임 있는 역할을 요청했다. 또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된다면 사드는 철수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도 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김영우 의원은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국민투표 주장에 대해 “책임을 방기하는 무책임의 극치”라며 “정치인 스스로 국론 분열과 남남갈등을 부추기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미국의 전력 배치에 대해선 ‘주한미군이 배치할 권한이 있다’고 한·미 상호방위조약에 명시돼 있다”며 사드 배치 결정이 국회 비준동의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했다.

그러나 대구·경북(TK) 지역 의원들은 반발했다. 경북 성주를 지역구로 둔 새누리당 이완영 의원 등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선정 기준을 소상히 밝히고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해당 지역 주민들과 충분히 대화할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어 “사드 레이더 전자파의 진실을 제대로 알리고 배치 지역에 대한 국책사업 지원 등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등 종합 대책을 세우라”고 했다.

TK 의원 25명 중 21명이 회견문에 서명했다. 최경환 주호영 강석호 김광림 조원진 정종섭 의원 등 새누리당 소속뿐 아니라 무소속 홍의락 의원도 동참했다. 사드 배치를 주장해온 유승민 의원, 국무조정실장과 국방부 차관을 각각 지낸 추경호 백승주 의원, 더민주 김부겸 의원은 서명하지 않았다.

이날 새누리당 혁신비대위는 부구욱 영산대 총장의 사퇴로 공석이 됐던 당 중앙윤리위원장에 여형구 신부를 임명했다. 4·13총선 참패 원인 등을 담은 백서는 오는 17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