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PCA)의 남중국해 중국 영유권 불인정 판결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총동원 체제로 전환했다. 관영 언론을 앞세워 반발하며 무력충돌 가능성까지 흘리고 있다. 국제사회 여론을 힘으로 넘어서겠다는 ‘안하무인’격 태도라는 비판이 나왔다.
13일 중국 언론은 일제히 머리기사로 “남중국해 도서는 예로부터 중국의 영토”라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발언을 보도했다. PCA 판결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반박만으로 채웠다. 인민일보는 판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시 주석과 리커창 총리의 발언, 중국 외교부 성명으로 1면을 채웠다. 2면에는 ‘PCA는 외부 세력(미국)의 대리인’이라는 제목의 사설격 칼럼도 실었다. 관영 CCTV 메인 뉴스 프로그램 신원롄보는 30분 방송 중 16분을 남중국해 관련 기사를 방송했다. 라디오 뉴스에서는 중국 입장을 지지하는 60여개국이 일일이 거명됐다.
군도 나섰다. 중국군은 “중국은 각종 위협과 도발에 대응할 능력이 있다”면서 “우리의 영토는 한 치도 양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군 기관지 해방군보는 ‘불법 판결로 중국의 주권을 빼앗을 생각은 꿈도 꾸지 말라’는 논평을 실었다.
심지어 중국은 언론에 최신 무기 사진을 흘리며 무력 사용을 암시하고 있다. PCA 판결 전날까지 남중국해에서 펼쳤던 위협적인 군사훈련 사진이 강조됐다. 미국 본토를 미사일로 공격할 수 있는 신형 094형 진(晉)급 핵잠수함이 남중국해상에 있는 사진도 등장했다.
미국과 중국의 날 선 공방전도 이어졌다. 중국 외교부는 루캉 대변인 명의의 발표문에서 “존 커비 미국 국무부 대변인의 성명은 사실관계를 무시하고 불법적이고 무효한 중재 판결을 조장한다”고 비판했다. 커비 대변인은 판결 직후 “PCA 판결은 최종적이고 구속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대니얼 크리턴브링크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토론회에서 “미국은 다른 분야 협력을 대가로 남중국해에서 눈 감는 일을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막가는 中… 판결 무시 ‘무력 시위’
입력 2016-07-13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