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수뇌부를 향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롯데그룹 계열사 대표 가운데 처음으로 강현구(56) 롯데홈쇼핑 사장이 소환됐다. 신동빈(61) 롯데그룹 회장의 핵심 측근인 소진세(65) 롯데그룹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 소환도 임박했다.
롯데홈쇼핑 재승인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검사 손영배)는 12일 강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에 따르면 강 사장은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의 롯데홈쇼핑 방송채널 사용 사업권 재승인 심사 당시 일부 허위사실이 기재된 사업계획서를 제출해 재승인 허가를 받아낸 혐의(방송법 위반)를 받고 있다. 재승인 허가를 따내기 위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미래부 소속 공무원과 재승인 심사위원 등에게 금품로비를 벌였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은 롯데홈쇼핑 재승인 심사를 담당했던 미래부 국장급 간부 A씨, 사무관 B씨의 계좌를 추적하는 등 금품로비 의혹을 확인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강 사장이 임직원 급여를 과다지급한 뒤 일부를 되돌려 받거나 회삿돈으로 상품권을 구입해 현금화하는 ‘상품권 깡’ 등으로 10억원 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본다. 강 사장을 포함해 롯데홈쇼핑 인허가 업무를 담당한 직원들이 ‘대포폰’을 쓰면서 은밀하게 로비를 벌인 정황도 포착했다. 검찰은 모두 9대의 대포폰을 압수해 통화내역 등을 분석하고 있다. 이 가운데 3대는 강 사장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검찰은 10일에 이어 11일에도 정승인(58) 코리아세븐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정 대표에게 코리아세븐이 롯데피에스넷의 유상증자에 참여한 배경을 캐물었다.
롯데피에스넷은 2010년 8월과 2012년 12월, 2013년 12월, 지난해 7월 네 차례에 걸쳐 주주배정 증자 방식으로 160억원대 유상증자를 했다. 이때마다 롯데닷컴·코리아세븐·롯데정보통신 등이 수십억원씩 들여서 롯데피에스넷에 출자를 했다. 롯데피에스넷이 영업손실을 입자 다른 계열사들이 나서서 자금을 지원하는 모양새였다.
검찰은 정 대표에게 이러한 부당 지원이 신 회장이나 그룹 정책본부 고위 관계자들의 지시를 통해 이뤄졌는지 등을 추궁했다. 검찰은 이미 롯데피에스넷의 유상증자와 관련된 롯데닷컴·롯데정보통신·코리아세븐 등 롯데그룹 6개 계열사의 3∼5년치 법인계좌 거래 내역을 전수조사하고 있다(국민일보 7월 4일자 1면 보도).
여기에 검찰은 신 회장의 최측근인 소 사장을 조만간 소환조사키로 하고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소 사장은 2010년부터 롯데슈퍼와 함께 코리아세븐의 겸임 대표를 맡으며 롯데피에스넷 유상증자에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소 사장이 신 회장의 직접 지시를 받고 유상증자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노용택 황인호 기자 nyt@kmib.co.kr
롯데 계열사 수뇌부 줄줄이 소환
입력 2016-07-13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