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보안관제센터, 빅데이터캠퍼스, 클라우드센터, e-스포츠 경기장까지 서울시의 디지털 산업역량을 총집결해 디지털수도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에스플렉스센터’가 14일 문을 연다. 공공 IT(정보기술) 핵심시설은 물론 IT 관련 민간기업들이 입주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센터 어디에서나 무료 와이파이가 가능해 시민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14일 상암 DMC 단지내에 서울의 IT, 디지털미디어, 문화콘텐츠 산업역량을 융·복합적으로 집약한 ‘에스플렉스센터’를 개관한다고 12일 밝혔다. 2009년 4월 착공한 지 7년여 만이다.
에스플렉스센터는 부지 면적 6605㎡ 위에 연면적 8만1969㎡ 규모로 조성됐다. 전문동인 ‘스마티움(Smartium·지상 21층)’과 대민동인 ‘시너지움(Synergyum·지상 17층)’이 입체적으로 연결된 구조다.
스마티움에는 흩어져 있던 서울시 IT·미디어 관련 핵심 기관이 시설과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고 한 건물에 입주해 데이터 기반 행정거점을 형성한다. 서울시 데이터시스템을 통합하고 클라우딩 컴퓨팅시스템 도입의 거점이 될 ‘클라우드센터’, 사이버 해킹 위협으로부터 24시간 서울시 행정망을 지켜내는 ‘통합보안관제센터’, 빅데이터캠퍼스, 방송플라자, 교통방송, 외주기업들에게 쾌적한 업무환경을 제공하는 ‘IT공방’, 창조적인 앱 개발을 지원하고 IT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앱비즈니스센터’가 대표 시설이다. 특히 빅데이터캠퍼스는 민간·공공데이터를 모아 민·관·산·학이 자유롭게 공유·분석하고 도시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누구나 지리정보 데이터 등 시가 제공하는 4500여종의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시너지움에는 e-스포츠 경기장, 링크스페이스, 3D영화관, 다목적 공개홀 등 민간 운영시설과 IT관련 민간기업, 멀티미디어 랩(가칭) 등 시민들을 위한 부대시설이 갖춰진다. 지난 4월 문을 연 e-스포츠 경기장은 800석으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세계 최초의 게임 전용경기장으로 시민들이 다양한 국내외 대회를 접하고 최신 게임 트렌드를 읽을 수 있게 된다. 센터 관계자는 “게임 선수와 관객이 소통할 수 있는 게 e-스포츠경기장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 오전 10시 개관식에서 디지털 기술의 가치와 철학을 실천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담은 ‘디지털 서울 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도로·인도·횡단보도 등에 설치한 센서와 버스·택시·응급차량 등에서 보내는 신호정보를 이용한 ‘차세대 신호운영 체계 구축 시범사업’ 연구용역을 추진중이다. 혼잡도로·비혼잡도로, 도심·외곽, 본선 도로·이면도로 등 도로 차이와 특성에 맞는 신호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방 교통체증 여부에 따라 교차로 꼬리물기 등을 방지하는 신호 제어, 좌회전 차량 유무에 따른 신호 주기 변화, 버스 우선 신호 배정 등도 가능해진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 디지털 산업역량 한곳에
입력 2016-07-12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