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지역갈등 차단… 대구공항 통합이전 ‘속도’

입력 2016-07-12 17:55 수정 2016-07-12 21:39
박근혜 대통령이 지시한 대구공항의 통합이전 절차가 한층 빨라진다. 정부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계획이 예전부터 어느 정도 검토됐던 만큼 관련 절차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하되, 가급적 1∼2개월 내에 부지 선정 작업을 마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특히 대구공항 이전은 국비 지원 없이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그대로 진행할 방침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구공항 이전 부지를 빨리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항 유치를 둘러싼 또 다른 지역갈등의 소지를 막기 위해 최대한 조기에 부지를 선정한다는 의미다. 이 관계자는 또 대구공항 국비지원 여부에 대해선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대구공항 이전절차가 진행되며, 기부 대 양여 방식에 충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국방부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대구시 등이 참여하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키로 했다. TF 1차 회의는 이번 주 중 개최된다. TF는 군공항 이전 방식과 절차, 민간공항 기능 이전 방안, 후보지 선정 등을 논의한다. 대구시는 이와 관련한 이전 건의서를 이미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은 보잉사 공장이 들어서는 경북 영천과 군위, 칠곡, 의성 등이다. 과거 K2 기지 유치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던 경북 예천도 거론된다.

대구공항은 K2 기지 외에 대구·경북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는 만큼 대구로부터의 접근성도 중요한 요소로 평가된다. 대구 도심에서 승용차로 가급적 30분 이내, 최대 1시간 이내 거리에 있는 입지가 통합이전 부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한 참모는 “일부 지자체는 K2 공군기지 유치를 희망했던 적도 있었던 만큼 최대한 신속하게 관련 작업을 끝낸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구공항은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군 공항인 K2 기지를 유치하는 곳에 대구시가 시설을 지어주고, 기존 K2기지 자리를 개발한 이익금으로 이 비용을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한다.

대구시는 새로 건설되는 대구공항의 총 사업비가 7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여 정부의 국고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통합이전되는 대구공항에 국비를 지원할 경우 다른 지역의 군공항 이전에 좋지 않은 선례가 될 수 있어 국비 지원은 어렵다고 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공항 이전 방식은 다른 군 공항 이전에도 적용될 부분”이라며 “특별법 법정신에 충실해서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14∼18일 박 대통령의 몽골 방문에 대기업 11개사 등 경제사절단 109개 업체가 동행한다고 밝혔다. 몽골 경제사절단 사상 최대 규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