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한국군 공군기지 배치 유력

입력 2016-07-12 04:30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기 전 천장을 바라보고 있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며 사드를 둘러싼 대내외 논란에 대한 정면 돌파에 나섰다. 이병주 기자

정부가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지역으로 기존에 알려진 주한미군 기지가 아닌 우리 공군의 방공기지들을 우선 검토 중인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기존 후보 지역 주민 반발은 물론 부지 조성 부담에 따라 기존에 조성된 군 기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공군의 지대공 미사일 ‘나이키’ 기지가 운영됐던 경남 양산과 포항, 현재 호크 미사일 기지가 운영 중인 경북 성주와 예천, 미군 군수물자 기지가 위치한 경북 김천 등도 후보 지역으로 거론된다.

정부 관계자는 11일 “기존에 거론됐던 곳과 함께 사드의 전략적 효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지역이 함께 검토됐다”며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확정 지역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들 지역은 이미 전략적 유용성이 검증됐으며, 대부분 주민 밀집지역과 거리가 있어 환경적 유해성도 비교적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보고에서 “공동실무단이 여러 군데 검토한 부지 중 가용 부지에 대한 의견 정리가 끝났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가용성이 있다는 것은 최적지라는 뜻”이라며 “다만 아직 과정이 남았기 때문에 확정이라는 표현보다 최종 선정 과정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 장관의 언급은 사실상 부지 선정은 끝냈지만 행정적 절차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대한민국의 미래와 우리 국민의 생존이 달려 있는 아주 중요한 절체절명의 문제”라며 “사드는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또 “사드 배치 부지도 군사적 효율성 보장과 더불어 전자파 영향을 포함한 문제로부터 지역주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최적지를 선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군은 북한의 ‘물리적 대응조치’ 위협에 대해 “단호하고 강력한 응징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미국 하와이 근해에서 열리고 있는 ‘2016 환태평양 훈련(RIMPAC·림팩)’에 참가 중인 중국 해군이 지난 9일(한국시간) 열린 우리 군 함정의 개방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해군은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공식화 발표 이후인 9일 오전 ‘자체 일정으로 공개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다’고 통고했다. 반면 우리 해군은 전날 열린 중국 해군 함정 공개식에 참석했다.

[관련기사 보기]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