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못 참는다” 高聲 지른 고성 주민들

입력 2016-07-11 21:29
금강산관광 중단 8년째를 맞아 ‘금강산관광 중단 피해대응 고성군 추진위원회’ 회원들이 11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는 금강산관광 중단에 따른 군민들의 피해를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라”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윤성호 기자

“금강산관광 중단 이후 고성군민들은 지금까지 참을 만큼 참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참지 않고 정부가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투쟁하겠습니다.”

금강산관광 중단 피해 대응 고성군 추진위원회는 금강산 육로관광 중단 8년째인 1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금강산관광 중단에 따른 피해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에는 고성군민과 재경군민 등 400여명이 참가했다.

추진위는 대회사에서 “고성군은 금강산 육로관광이 중단된 이후 가게는 모두 문을 닫았고 직장은 사라졌으며 가족은 뿔뿔이 흩어졌다”며 “일방적으로 금강산관광을 중단한 정부의 조치 때문에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겨 그야말로 적막강산으로 변해 버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고성군이 입은 피해에 대해 반드시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강훈(54·고성군번영회장) 추진위원장은 “정부는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고성에 대해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금강산 관광중단 피해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과 금강산 관광중단 피해에 상응하는 특별교부세(월 32억원)를 지원해 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또 남북 고성지역을 남북 주민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통일교류 촉진지역’으로 조성해 줄 것과 통일전망대, DMZ박물관 일원을 국민관광지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접경지역의 교통망 확충을 위해 동해고속도로 속초∼고성 연장사업을 조기 시행해 줄 것도 요청했다.

금강산관광 사업에 투자한 30여개 업체(현대아산 제외)로 구성된 금강산투자기업협회도 사업 중단 장기화에 따른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다.

금강산투자기업협회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투자 초기에 아무런 안전장치 없이 투자한 금강산투자기업도 개성공단 보험 미가입 업체와 동일한 보험 적용을 원한다”며 “정부가 인정한 투자금액 재산정, 성의 있는 사과와 진실성 있는 대책을 원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금강산관광 중단과 관련해 모두 3차례에 걸쳐 남북협력기금 특별대출을 실시, 41개사에 모두 218억원을 대출했다고 밝혔다. 또 40개사에 모두 4억원의 긴급운영경비를 무상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현재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논의하는 건 적합하지 않다”며 “앞으로 투자기업들에 대한 정책적 차원의 필요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03년 2월 시작된 금강산 육로관광은 2008년 7월 11일 관광객 피살 사건으로 인해 중단됐다. 이에 따른 고성지역 경제손실액은 3000억원, 휴·폐업한 상가는 414곳에 달한다. 정건희 기자, 고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