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산업 육성·동서교통망 확충… 경북-전북 공조 강화 팔 걷었다

입력 2016-07-11 21:19
김관용 경북지사(왼쪽)가 11일 전북도청을 방문해 송하진 전북지사와 함께 ‘경북·전북 공동 협력사업’의 조기성과를 거두기 위해 협력방안을 논의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과 전북이 ‘탄소산업 육성’과 ‘동서 교통망 확충’을 통해 공조체제를 다졌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11일 전북도청을 방문해 송하진 전북지사와 함께 경북·전북 공동 협력사업의 조기성과를 거두기 위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양 도 관련 실·국장 10여명이 함께해 ‘탄소산업 예비타당성 통과’와 ‘동서 교통망 확충’을 위해 공조체제를 강화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김 지사는 “전북과 경북이 역할을 분담해 추진해 온 탄소산업 육성전략이 정부정책에 반영되기 직전에 와있다”면서 “‘탄소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대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8월 중에 완료돼 내년 국가예산에 바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탄소법 시행령’ 제정과 예타 통과 이후에도 탄소산업 육성을 위한 ‘국제학술대회’ 개최, 인력 및 기술·정보 교류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이어가자”고 제안했다.

이에 송 지사는 “탄소산업을 전북과 경북의 미래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예타 통과와 내년 국비확보가 관건인 만큼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양 도의 역량 결집이 절실하다”고 화답했다.

경북도는 ‘미래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첨단 신소재인 탄소섬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20년까지 구미 하이테크밸리 내에 66만1000㎡(20만평)규모의 융·복합탄소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자동차부품산업이 밀집해 있는 경산에 탄소성형기술지원센터를 구축해 구미∼경산∼포항을 잇는 탄소산업벨트를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양 지사는 “광역 SOC 분야에서도 협력이 절실하다”며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 대구∼무주 구간이 조속히 추진돼야 하며 동서 횡단(김천∼전주) 철도사업도 하루빨리 가시화돼야 국토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북도와 전북도는 1998년 자매결연 이후 영·호남 상생을 위해 도립예술단 교환공연, 문화예술단체 교류, 기초 자치단체 간 자매결연, 공무원 교육 교류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해 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